목록으로

"시대착오적"… 민주노총 빼고 다 반대하는 '새벽배송 금지'

헤드라인 2025-10-30 08:53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만 2세 자녀를 둔 직장인 A씨는 새벽배송 금지 소문에 큰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소비자 단체들은 택배노조의 제안을 시대착오적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이용자의 98.9%가 향후에도 계속 이용할 의사를 표했으며, 새벽배송 중단 시 불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4.1%에 달했다. 택배기사들도 심야배송 금지가 택배 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라며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택배노조 새벽배송 금지 제안 소비자단체들 일제히 비난 이용자 64% "없어지면 불편" 자영업자들도 우려 목소리 "물류 막히면 소상공인 피해" 쿠팡 노조도 반대 입장문 내 "일자리 잃고 물류대란 올 것" 만 2세 자녀를 키우고 있는 직장인 A씨는 '새벽배송'이 없어질지 모른다는 소문에 신경이 곤두섰다. 맞벌이인 그는 평일엔 장을 볼 여유가 없어 온라인 쇼핑에 의지해왔다. A씨는 "기저귀, 물티슈, 간식거리 등 육아에 당장 필요한 물품이 떨어져도 밤중에 주문하면 되니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이들에게 새벽배송은 너무 소중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시간 노동·야간 과로가 문제라면 인력을 더 늘리는 방법이 있다"며 "이에 따라 멤버십 이용료가 인상되더라도 기꺼이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금지를 여당과 정부에 제안했다는 소식에 소비자와 새벽배송 노동자가 동시에 반발하고 나섰다. 소비자단체들은 택배노조의 제안을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30일 사단법인 소비자와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이 발표한 '택배 배송 서비스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벽배송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98.9%가 향후에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64.1%는 새벽배송이 중단되거나 축소되면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답했다. 새벽배송이 중단될 경우 불편이 클 것으로 꼽은 항목은 장보기(38.3%)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일상생활(28.0%), 여가생활(14.3%), 육아 및 자녀 학업지원(14.2%), 반려동물 돌봄(5.1%) 순이었다. 반면 "불편하지 않다"는 응답은 9.4%에 그쳤다. 이 조사는 소비자와함께가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새벽배송 금지가 논의된다는 사실 자체에 불만을 표하고 있다. 맘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이 준비물이 급하게 필요할 때 늘 새벽배송을 이용했다"며 "기사님들 건강도 중요하지만 대체 방안 없이 새벽배송을 막는 건 극단적"이라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워킹맘 박 모씨(51)는 "근무 시간 조정이나 건강검진 강화 같은 대안을 마련하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자영업자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한 자영업자 커뮤니티에는 "낮에는 장 볼 시간이 없는데 새벽배송이 막히면 장사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 "물류가 막히면 결국 소상공인 피해로 돌아온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지방에서도 비슷한 불만이 터져나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도서·산간 지역 등 오프라인 유통망이 부족한 곳은 문 앞 배송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지금은 새벽배송 제한을 논의할 때가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택배를 받을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논의할 때"라고 강조했다. 심지어 택배기사들 사이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거세다. 쿠팡 정규직 배송기사로 구성된 쿠팡노동조합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택배기사들이 오전 5시에 배송을 하려면 간선기사들과 물류센터 노동자들이 밤새 배송 준비를 해준다"며 "심야배송을 금지하면 이들은 모두 일자리를 잃게 되고, 주간으로 몰린 물량은 교통 체증과 승강기 사용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등 큰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쿠팡노조는 "단순히 '야간근로를 줄이자'는 이유로 새벽배송을 금지하는 것은 택배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라며 "국회와 정부는 정치적 구호에 휩쓸리지 말고 현실적 대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토교통부, 택배업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의 과로를 줄이기 위해 심야배송을 제한하고 최소한의 수면 시간과 건강권을 보장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