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024년 외국인주민 수’ 발표
전년 대비 12만명 증가
챗GPT가 그린 한국의 다문화사회 면모.
지난해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이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5%를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인구가 5% 이상이면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행정안전부가 30일 발표한 ‘2024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장기 거주 외국인주민은 258만3626명으로 총인구(5180만5547명)의 약 5.0%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12만명(5.0%) 증가한 수치다.
행안부가 말하는 ‘외국인주민’은 단순한 외국 국적자가 아니다.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 △한국국적을 취득한 귀화자 △외국인 또는 귀화자의 자녀(국내 출생자)까지 포함한 개념이다. 즉 실제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관리가 필요한 다문화 인구 전체를 의미한다.
이번 증가세를 주도한 것은 유학생이었다. 유학생 수는 23만3237명으로 전년 대비 2만6908명(13.0%) 늘었다. 외국인 근로자는 50만2634명, 결혼이민자는 19만1839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6.9%, 6.5% 증가했다. 반면 외국국적 동포는 41만5695명으로 1.1% 늘어나는데 그쳤다.
외국인주민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했다. 경기도 84만5074명, 서울 45만888명, 인천 16만9219명으로 수도권 거주 비중이 56.7%에 달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안산(10만9872명), 화성(8만1705명), 시흥(7만8444명), 수원(7만3232명), 부천(6만502명) 순이었다.
전년 대비 외국인주민 증가율은 전남(10.5%), 울산(8.9%), 경북·충남(8.8%)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충남은 전체 인구의 7.6%가 외국인주민으로, 전국에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박연병 차관보 직무대리는 “유학생 증가를 비롯한 외국인주민의 확대는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와 함께 외국인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상생기반을 마련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I 요약
지난해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이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5%를 넘어 258만3626명에 달했다. 주로 유학생 수의 증가가 이끌었으며,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민자도 각각 6.9%와 6.5% 증가했다. 전라남도가 전체 인구의 7.6%가 외국인주민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박연병 차관보는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정착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