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만 탄다는 ‘원’
더 비스트, 달리는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6월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더 비스트 내부를 살짝 보여줬다. [사진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한미 정상회담과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CEO서밋 행사 참석을 위해 경북 경주를 찾을 때 ‘원(One)’도 함께 왔다.
‘원’은 미국 대통령들이 재임기간 동안 이용하는 ‘탈 것’에 붙는 숫자다. 재임기간 동안에만 원 없이 탈 수 있다.
전용 비행기는 ‘에어포스 원(공군 1호기)’, 전용 헬리콥터는 ‘마린 원(해병 1호기)’이다. 전용 차량은 ‘캐딜락 원’이다.
‘더 비스트(The Beast, 야수)’로 잘 알려진 캐딜락 원은 대통령 이동수단 중 유일하게 운용하는 군 명칭 대신 브랜드 이름이 들어갔다. 미국 빅3 자동차브랜드이자 캐딜락 브랜드를 보유한 지엠(GM)이 제작한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이후부터 GM이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그 전에는 포드가 1호차로 사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6월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더 비스트 내부를 살짝 보여줬다.
당시 트럼트 대통령이 자랑한 차량은 GM이 2018년 1580만달러(당시 178억원 수준)를 들여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전용 헬기 마린원을 타고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장이 있는 경북 경주시 보문관광단지 한 헬기장에 도착, 전용 리무진 더 비스트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10.29 [사진출처=연합뉴스]
장치와 성능 등은 모두 기밀 사항이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길이는 5m가 넘고 무게는 9t 가량이라고 한다. 겉으로 보기보다 무게가 더 나간다. 대통령을 보호하고, ‘달리는 백악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장착했기 때문이다.
부통령 및 펜타곤(미국 국방부)과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위성 전화, 산소 공급 장치, 야간 투시 카메라, 최루탄 발사기 등도 갖췄다고 알려졌다.
문짝 두께는 20cm 이상이고 방탄유리는 13cm 정도로 웬만한 총알로는 뚫을 수 없다. 급조폭발물, 화확무기 등을 이용한 공격에서도 탑승자들을 보호하는 기능도 적용했다. 펑크가 나도 달릴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를 장착했다.
차문에는 열쇠 구멍이 없고, 문을 여닫는 방법은 차량 경호원만 안다. 창문도 운전석 쪽만 8cm 가량만 열 수 있다고 한다.
AI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및 APEC CEO 서밋 참석을 위해 경주를 방문하였으며, 이때 ‘원’이라는 전용 차량이 함께했다. '캐딜락 원'으로 알려진 이 차량은 대통령의 이동 수단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장비와 방탄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9톤의 무게와 5미터가 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차량은 대통령의 안전을 위해 여러 군사적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문을 여닫는 방법은 오직 경호원만 알고 있어 보안이 철저하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