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APEC CEO 서밋 기조연설.
포용적 ‘웹3 금융’ 비전 제시
젠슨 황·제인 프레이저와 나란히
“거래소 중심 인프라, 두나무가 이끌 것”
“韓 핀테크, 아시아 넘어 세계로 확장”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29일 경주 APEC CEO 서밋에서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블록체인 혁명은 한국과 두나무가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새로운 금융 질서를 구축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두나무는 단순한 거래소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로 진화할 것입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경제 포럼이자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지는 ‘2025 APEC CEO 서밋’ 이틀째인 29일,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등 전 세계 거물급 기업인들 앞에서 한국 핀테크의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날 오 대표는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맡았다. 이번 서밋에는 맷 가먼 AWS CEO, 사이먼 칸 구글 아태 부사장 등 빅테크 리더들과 금융계 인사들이 총출동해 ‘미래의 설계(Designing the Future)’라는 대주제 하에 격론을 벌였다.
오 대표는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핀테크 리더로서 디지털 자산이 가져올 미래 금융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는 “돈의 역사는 가치를 보증하는 주체의 변화에 대한 역사”라고 운을 뗐다. 오 대표는 “과거 법정화폐가 국가 기관의 신뢰를 바탕으로 했다면, 오늘날 디지털 자산 시대에는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합의가 그 신뢰를 보증한다”며 “지금은 돈이 아닌 ‘신뢰’를 설계하는 시대”라고 정의했다.
오 대표는 “돈의 형태가 진화할수록 거래비용은 줄고 시장은 확장됐으며 금융은 더욱 성장했다”며 “현재 우리는 법정화폐와 디지털 자산이 공존하며 서로의 강점을 보완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의 진단은 명확한 데이터로 뒷받침됐다. 전 세계 디지털 자산 보유자 수는 5억 6000만 명으로 동남아시아 전체 인구와 맞먹으며, 상위 21개 디지털 자산 지갑은 12억 회 이상 다운로드됐다. 비트코인은 이미 세계 7대 자산으로 자리매김해 대부분의 원자재 가격을 앞지르고 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29일 경주 APEC CEO 서밋에서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오 대표는 ‘미래의 금융’으로 불리는 블록체인 기술이 전통 금융 시스템과 단절됐던 과거를 지나, 이제 ‘스테이블코인’이라는 강력한 가교를 만났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랫동안 블록체인은 전통 금융과 단절된 영역이었지만, 이 둘을 잇는 것이 바로 스테이블코인”이라며 “현재 시가총액이 약 3000억달러(약 430조원)에 달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 금융 인프라 자체를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이 확산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디앱(DApp·분산형 앱)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결제뿐 아니라 대출, 자산관리, 자본시장까지 웹3(Web3) 기반으로 재편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나아가 오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이 전 세계 13억 명에 달하는 ‘비은행 인구(unbanked)’에게 금융 접근권을 제공하는 ‘포용적 금융’의 핵심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현재 거래소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소가 블록체인 금융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향후 디지털 자산 시대를 맞아 단순 거래 중개를 넘어, 결제와 금융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강력한 비전 선포로 풀이된다.
오 대표는 “두나무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확장하며 새로운 금융 질서를 이끌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요약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2025 APEC CEO 서밋’에서 한국 핀테크의 비전을 소개하며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미래를 강조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이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포용적 금융이 추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두나무는 글로벌 금융 인프라로의 진화를 약속하며 새로운 금융 질서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9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