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연 상위 20작품 중 뮤지컬이 7개
뮤지컬 매출 1387억 원, 전년 대비 15%↑
서울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에서 공연되었던 뮤지컬 ‘위키드’는 2025년 3분기 공연매출에서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에스앤코}
올해 3분기 공연시장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2025년 7~9월 전국 공연의 티켓 예매 수는 약 653만 장, 티켓판매액은 461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2.8%(74만 장), 20%(768억 원)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 이후 회복세를 이어온 공연시장은 2021년 이후 4년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뮤지컬은 티켓판매액 1387억 원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약 30%를 차지했다. 공연건수(938건), 공연회차(1만 1993회), 예매 수(233만 장) 모두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위키드’, ‘알라딘(부산)’, ‘팬텀’, ‘맘마미아’, ‘노트르담 드 파리’ 등 대형 라이선스 작품들이 흥행을 주도했다. 여름 휴가철(7~8월)에 집중된 개막작 영향으로 티켓판매액 역시 9월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연극은 공급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감소했다. 3분기 연극 공연은 1124건(전년 대비 +23.4%)으로 늘었지만, 티켓예매수는 76만 장(-5.2%), 판매액은 183억 원(-13.5%)에 그쳤다.
특히 300~500석 규모 중형 공연장이 공연건수 기준 46.2% 증가, 500~1000석 규모 공연장도 58.5% 증가하며 공급 확대를 주도했다. 그러나 대학로를 중심으로 한 중소극장권에서는 예매수(-13.6%), 판매액(-20.4%)이 모두 감소해 수요가 따라가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3분기 공연시장 상위 10개 작품의 매출 비중은 전체의 25.2%로, 쏠림 현상이 다소 완화됐다. 뮤지컬 상위 10위는 ‘위키드’, ‘알라딘(부산)’, ‘팬텀’, ‘멤피스’, ‘맘마미아’, ‘노트르담 드 파리’, ‘브로드웨이 42번가’, ‘슬립노모어’, ‘위대한 개츠비’, ‘베어 더 뮤지컬’ 순으로 나타났다.
연극 부문에서는 ‘셰익스피어 인 러브’와 ‘미러’, ‘2시22분’이, 무용 분야에서는 ‘백조의 호수’, ‘더 퍼스트 갈라’, ‘일무’가 각각 상위권에 들었다. KOPIS는 “상위 쏠림은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대형 뮤지컬과 콘서트 중심의 공연 시장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 드림씨어터에서 공연된 ‘알라딘’이 전체 공연 매출 상위 20위 안에 들며 높은 관객 호응을 기록, 비수도권 공연의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수도권의 공연 쏠림 현상은 여전한 곳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이 전체 매출의 76.3%, 예매수의 72.7%를 차지했다. 다만 수도권 쏠림 속에서도 지방 시장의 잠재력도 확인됐다. 특히 비수도권 중에서는 부산(510억 원), 대구(119억 원), 광주(116억 원) 순으로 매출이 높았다
AI 요약
올해 3분기 공연시장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티켓 예매 수는 약 653만 장, 티켓판매액은 4615억 원에 달했다. 뮤지컬 부문이 전체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며 큰 성장을 보인 반면, 연극은 공급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이 전체 매출의 76.3%를 차지하지만, 부산, 대구, 광주 등 비수도권 지역의 잠재력도 확인됐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9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