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 국감 증인채택 결렬
與 "오전에만 출석 가능해"
野 "질의시간 모두 나와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포함한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의 여야 증인 채택 합의가 끝내 불발됐다. 다음달 6일 열리는 운영위를 앞두고 여야가 마라톤 협상을 벌였지만 김 실장 출석 시간을 놓고 충돌하며 협상이 결렬됐다. 여야는 추후 회동을 통해 증인 채택 건에 대한 협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28일 운영위 여당 간사인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운영수석부대표와 야당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2시간가량 국정감사 증인 채택과 관련한 협상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는 29일 열리는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의결할 국감 증인 명단이 논의됐는데, 핵심 증인인 김 실장 출석을 두고 여야가 맞붙었다.
여당은 김 실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일정상 6일 오전에만 출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지만 야당은 그간 제기된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질의 시간 전반에 걸쳐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김현지 부속실장이 총무비서관을 석 달 정도 한 것 갖고 (국정감사에) 부르겠다는 취지인데 관례가 없다"며 "국민의힘이 총무비서관 재직 당시 인사 관련 질의를 한다고 하니 못 부를 이유는 없다. 다만 대통령 일정을 고려해 오전 중에 출석시키는 것이 맞는다. 오후 2시부터는 일정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 수석부대표는 "인사청문회를 시작하면 오전에 각종 업무보고가 진행되고 사실상 한 시간밖에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는 것"이라며 "형식적으로 김현지 실장이 '출석했다'는 명분 쌓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 출석 건과 관련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결국 운영위 국감의 증인·참고인도 채택하지 못했다.
한편 이날 여야는 증인 명단을 놓고도 실랑이를 벌였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 외에도 김 실장 배우자, 김인호 산림청장, 이상경 전 국토교통부 1차관,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지지환 영등포경찰서장, 제찬웅 JTBC 대표 등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민주당은 이에 맞서 이른바 '내란 국감'을 위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비롯해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이원모 전 대통령실 비서관, 명태균 전 미래한국연구소 회장 등 50여 명을 증인으로 요구했다.
AI 요약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에 대한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증인 채택 합의가 결국 불발됐다. 여야 간사들은 증인 출석 시간을 두고 충돌하며 협상이 결렬되었고, 이후 추가 회동을 통해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과 관련된 다양한 증인을 신청한 반면,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인사를 포함한 50여 명의 증인을 요구하며 대립하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