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홧김에 나가도 갈만한 집 없어요”...서울 월세값 10년 만에 최대 상승률

헤드라인 2025-10-28 10:33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서울의 월세 상승률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의 월세가격지수는 7.15% 상승했으며, 월세 거래량 비중도 전국 평균을 넘어 증가하고 있다. 전세 물건은 1년 전보다 21.2% 감소해 임대물량이 줄어들고 있어, 월세 선택이 불가피해지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거주 규제에 임대 물건 ‘감소’ [연합뉴스]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전세의 월세화’ 속도가 가속화하면서 서울 월세 상승률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전역에 실거주 의무를 강화한 10·15 대책으로 향후 임대 물건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28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월간 아파트 월세가격지수 상승률은 7.1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10년 만의 최고치다. 이 기간 수도권 월세가격지수 상승률은 5.95%를 기록했다. 서울 월세가격지수 상승률(1~10월 기준)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오르다가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에는 1.65% 상승, 2021년에는 3.56% 올랐다. 이후 월세 상승 폭이 커지면서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4.85%, 4.95%, 2024년에는 5.24% 상승했다. 월세 거래량 비중도 상승 추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은 62.2%로 처음 60%를 넘어섰다. 특히 서울의 월세 비중은 64.1%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앞서 6·27 대출 규제로 전세자금 대출 문턱이 높아져 반전세 등 월세를 선택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데 이어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2년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면서 임대 물량이 줄어 전월세값 상승과 월세 비중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실제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2만4478건으로 1년 전 같은 날(3만1040건)보다 21.2% 줄어들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규제 때문에 전세금을 대출받아 충당하기가 어려워졌고, 의무 실거주 요건으로 임대 매물이 줄고 어쩔 수 없이 월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며 “정책에 따라 필연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주거 약자를 구제할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