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택배노조의 무리수···“심야배송 중단하라”

헤드라인 2025-10-28 10:09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심야배송 중단을 요구하며 과로 방지를 강조했지만, 소비자 편익을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는 비판도 있다. 고용노동부는 야간노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으며, 택배노조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회의를 추진할 예정이다. 그러나 야간배송을 선호하는 택배기사들의 반발이 우려되고 있으며, 이들이 여전히 야간배송을 선호하는 집단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 지난 22일 사회적 대화서 요구 택배기사 과로 막겠다지만 소비자 편익 무시 지적도 지난 9월 국회에서 진행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 출범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새벽배송’ 중단을 요구했다. 택배 기사의 과로를 막자는 주장이지만, 소비자 편익을 외면한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택배노조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진행된 택배노동자 과로 방지 사회적 대화에서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심야배송을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심야배송 중단’을 요구했다. 택배노조는 논평을 통해 “택배노조는 초심야시간대 배송을 중단하고, 야간 고정근무를 현대자동차의 주간연속 2교대 형태 주간근무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택배노조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야간노동 의학적 검토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노동계에서 심야배송 중단을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택배노조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가맹조직인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의 산하노조다. 사회적 대화에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국토교통부, 택배노조, 주요 택배사 등이 참여했다. 향후 택배노조를 비롯한 노동계의 목소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택배노조는 “회의에서 택배노동자들의 과로를 막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며 “야간노동과 휴일노동에 대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국회 및 정부부처, 택배사와 종사자들이 함께하는 실무회의를 추가로 개최해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 정부가 노동계에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는만큼 어떤 형태로든 심야배송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이같은 새벽배송 중단 요구가 택배기사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가 지난 7월 택배기사 12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택배기사 업무 여건 및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야간배송 기사 가운데 90.3%가 ‘야간배송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주간보다 교통혼잡이 적고 수입이 더 좋다는 점 때문에 야간배송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낮에 개인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야간배송 선호 요인 중 하나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