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임원, 미공개정보 활용
지인에게 전달 20억 부당이득
합동대응단 ‘패가망신 2호’
NH투자증권 전격 압수수색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이승우 단장이 28일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 부문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와 관련한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다는 의혹과 관련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뒤 현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형 증권사 소속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거액의 이득을 취한 정황을 금융당국이 포착하고 본격 수사에 나섰다. 주가 조작 등 불공정 행위 세력에 대한 척결을 강조한 이재명 정부에서 출범한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2호 사건’이다.
28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합동대응단은 서울 NH투자증권 본사 임원실 및 공개매수 관련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해당 임원은 공개매수 정보를 공표 전 지인 등에게 전달해 2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얻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당국에 따르면 투자은행(IB) 부문 고위 임원인 A씨는 최근 2년간 NH투자증권이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와 관련된 중요 정보를 지인과 직장 동료 등에게 계속해 반복적으로 전달했다. A씨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하고 공표 후 주가가 오르면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20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대응단은 A씨를 포함해 그의 가족 및 지인, 영업본부 직원 등 총 4명을 혐의자로 파악하고 있다. 이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계좌를 다수 사용했고, 차명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하는 등 사내 또는 당국 감시망을 회피하려 했던 정황도 포착됐다. 다만 A씨는 해당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 제공]
합동대응단은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는 주가 조작과 동일한 중대 범죄”라고 강조하며 해당 증권사에 대해 “내부 통제 체계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압수수색 후 이승우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단장은 “금융회사 임직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은 더 강력하게 엄중 조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혐의는 거래소의 매매 심리 과정에서 최초로 포착했고 조사하는 과정에서 종목이 확대됐다”며 “올해 초부터 계속 조사를 해왔고 (조사 중인 사건은) 3개가 더 있다”고 덧붙였다.
현 정부 들어 출범한 합동대응단은 지난달 종합병원 등을 운영하는 슈퍼리치들과 사모펀드 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이 공모해 저지른 1000억원대 주가 조작을 적발한 바 있다.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주식시장에서 장난치다간 패가망신한다는 걸 보여주겠다”고 언급하며 원스트라이크아웃제 도입을 밝혔다.
AI 요약
대형 증권사 소속 고위 임원이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20억원 상당의 부당 이득을 취한 혐의로 금융당국의 수사를 받고 있다. 합동대응단은 해당 임원과 그의 가족, 지인 등을 포함해 총 4명을 혐의자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들은 차명계좌를 사용하며 사내 감시망을 회피하려 했던 정황이 드러났다. 이승우 단장은 금융회사 임직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에 대해 더 강력한 조치를 예고하며, 조사 중인 사건이 추가로 3건 더 있다고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