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2월 이어 9월에도 충돌
美CSIS 통해 뒤늦게 알려져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설치된 중국 구조물. 연합뉴스
중국 해경이 지난달 말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서 중국의 무단 설치 구조물을 점검하려던 한국 선박을 막아선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27일(현지시간) 발간한 '잠정조치수역에서의 한중 대치' 보고서에 따르면 해양수산부 산하 기관의 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는 중국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 9월 24일 PMZ에 진입했다.
그러자 6시간 뒤에 중국 해경 경비함 한 척이 온누리호 인근으로 접근했으며, 이어 칭다오 지역 항구에서 출발한 중국 해경 함정 두 척이 추가 투입됐다. 온누리호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 해경 함정도 이 지역으로 접근했다.
이튿날인 25일 온누리호가 한국 해경 함정과 함께 중국 PMZ에 설치한 양식 구조물인 선란 1호와 2호를 점검하기 위해 다가가자 중국 해경 함정 두 척이 온누리호를 양쪽에서 에워쌌다.
이후 중국 해경 함정은 구조물을 지나 귀항하는 온누리호와 한국 해경 함정을 15시간 동안 추적했고, 두 선박이 PMZ를 벗어난 뒤에야 추적을 멈췄다. 양국 선박들은 가장 가까울 때는 1.7해리(약 3.1㎞)까지 근접했다. 이에 대해 CSIS는 "이번 사건은 올해 2월 발생한 대치 상황과 유사하다"며 "중국이 분쟁 해역에 일방적으로 설치한 해양 구조물 주변에서 의도적으로 존재감을 과시하며 감시 활동을 지속하는 패턴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이 해경을 동원해 PMZ 경계를 순찰하고 한국 선박이나 조사선을 추적하는 행위는 양국 협정이나 유엔해양법협약을 위반하진 않지만, 이는 중국이 분쟁 수역의 통제권 강화를 위해 사용하는 '그레이존' 전략과 유사하다"고 덧붙였다. 즉, 무력 충돌을 피하면서 중국 해경의 존재감을 지속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으로 사실상의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AI 요약
중국 해경이 지난달 말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서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의 점검을 방해한 사실이 밝혀졌다. CSIS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해경은 온누리호를 15시간 동안 추적하며 양국 선박이 1.7해리에까지 근접하게 했다. 이번 사건은 중국이 해양 구조물 주변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하고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