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sovereignty)의 맛
: 서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팔라우(Palau)는 인구가 2만 명 남짓밖에 안된다. 제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였던 팔라우는 전후 UN 신탁통치로 미국의 행정 관리 아래 놓였다.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 아래 있었지만, 팔라우는 세계 최강국 미국과 팔씨름하면서 주권(sovereignty)의 맛이 무엇인지 보여주었다. 미국의 자유연합협정 체결 국민투표를 일곱 차례나 부결시킨 것이다. 결국 여덟 번째 투표에서 협정이 비준되었지만, 헌법상 비핵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이 사례는 주권이 국가의 크기나 군사력이 아니라, 국민의 강한 의지로 지켜진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소버린 AI라는 기정학
: 오늘날 ‘소버린 AI’라는 말은 인공지능을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주권의 맛을 가미한 기정학(技政學, techno-politics)의 위치에 올리고 있다. 미·중 양강의 패권 경쟁 속에서 각국은 AI에 대한 패권국가의 기술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의 인프라·데이터·모델·인력을 기반으로 독자적 AI 생태계를 구축·운영하려는 전략적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소버린 AI는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Stanford HAI, 2024; WEF, 2024).
AI 요약
팔라우는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 속에서도 주권을 지키기 위해 여러 차례 국민투표를 통해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 체결을 부결시켰고, 결국 헌법상 비핵 국가로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버린 AI'는 각국의 AI 생태계를 주권의 연장선으로 바라보며, 자국의 기술 독립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연합은 이를 통해 제3의 AI 축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소버린 AI가 산업 연계와 융합을 통해 국가의 디지털 정체성과 결합해야 하며, 개방형 협력을 통해 국제적 신뢰를 쌓아야 함을 시사한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30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