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유럽 문화수도 사로잡은 韓 단색화 거장들

헤드라인 2025-10-28 08:25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지난 2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아트바젤 파리 2025'에서 이우환, 박서보, 하종현 등 한국 단색화 거장들의 작품이 판매되며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함경아, 최재은, 이광호, 박찬경 등 다음 세대 작가들도 주목받아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제갤러리 회장은 한국 미술의 강세를 다시 한번 확인하며, 한국 작가들의 차별성과 강점을 강조했다.

이우환·박서보·하종현 등 '아트바젤 파리'서 인기몰이 하종현의 'Conjunction 23-64'. 국제갤러리 지난 26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막을 내린 '아트바젤 파리 2025'에서 한국 단색화 거장들의 작품이 다시 한번 건재를 과시했다. 이우환, 박서보, 하종현 등 한국 단색화 거장들의 작품이 잇달아 판매되며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함경아, 최재은, 이광호, 박찬경 등 다음 세대 작가들의 작품도 주목받으며 단색화 이후 한국 미술의 확장된 스펙트럼을 보여줬다. 28일 국제갤러리에 따르면 이우환의 'Response'는 85만~102만달러에 판매됐다. 박서보의 'Ecriture No. 220202'와 하종현의 'Conjunction 23-64'와 'Conjunction 24-52'는 25만~30만달러에 거래됐다. 이번에 공개된 거래가는 모두 갤러리 측이 밝힌 가격 범위로, 구체적인 낙찰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권영우의 'Untitled'는 4만4000~5만3680달러에 판매됐다. 최소한의 조형 요소만 남기면서 작가의 수행적 반복을 특징으로 하는 단색화는 여전히 유럽 컬렉터들 사이에서 한국 미술의 브랜드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아트바젤 파리에서는 다음 세대 작가들의 활약도 눈에 띄었다. 함경아, 최재은, 이광호, 박찬경 등이 다양한 매체와 주제를 선보이며 단색화 이후의 한국 작가군을 형성했다는 평가다. 이들 작가들의 실험은 한국 현대미술의 다음 장을 써 내려가고 있다. 이현숙 국제갤러리 회장은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한국 미술의 강세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한국 작가들의 작품들은 세일즈로 속속 이어지며 세계 미술시장에서 한국 미술이 가지는 차별점과 강점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8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