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건 1987년 연설
미-캐나다 무역 협상 깨뜨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누가 ‘외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자’고 말하면, 마치 미국 제품과 일자리를 보호하고 애국적인 일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무역 전쟁으로) 시장이 위축되면, 기업이 문을 닫고 수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됩니다.”(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무역 협상을 전면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캐나다가 레이건 전 대통령이 등장하는 관세 비판 광고를 내보냈다는 이유 때문인데, 캐나다는 결국 방송을 중단하기로 했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BBC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지원한 광고에 고율 관세에 반대하는 레이건 전 대통령의 연설이 담기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를 “지독하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양국이 진행 중이던 무역 협상도 전면 중단시켰다.
지난주 캐나다에서 방영된 1분짜리 광고에는 레이건 전 대통령의 1987년 연설이 담겼다. 캠프 데이비드에서 라디오를 통해 전달된 5분짜리 이 연설은 관세가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는 내용과 자유무역에 대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지지 입장이 포함됐다.
발끈한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광고가 가짜라면서 캐나다와 모든 무역 협상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캐나다가 미국 대법원 결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거짓 주장을 악의적으로 사용했다는 이유에서다.
“재협상 나설 준비 돼 있다” 트럼프 달래기 나선 카니 총리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연합뉴스]
레이건 재단도 캐나다의 광고가 레이건 전 대통령 연설을 왜곡했고 허가도 받지 않았다며 법적 대응 검토에 나섰다.
CNN은 1987년 4월 레이건 전 대통령의 실제 라디오 연설로, 편집되긴 했지만 가짜는 아니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무역 협상 종료를 선언하면서, 몇 달간 진행돼온 협상은 다시 위기를 맞게 됐다.
최근 캐나다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일부 완화 받는 대신, 캐나다산 에너지의 대미 수출을 확대하는 합의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해왔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언제든 미국과 재협상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며 트럼프 달래기에 나섰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우린 미국의 무역 정책을 통제할 수 없다”면서 “관세 정책이 1980년, 1990년, 2000년대와 달리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결국 캐나다 온타리오 주는 미국과 무역 협상 중단의 빌미가 된 관세 비판 TV 광고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카니 캐나다 총리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AI 요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모든 무역 협상을 전면 중단한다고 선언하며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캐나다의 광고가 레이건 전 대통령의 관세 비판 발언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지독하다"고 비난했기 때문이다. 온타리오주는 광고를 중단하기로 결정하였고, 카니 캐나다 총리는 재협상을 위한 대화 의사를 표명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5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