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기구 의원 “범죄자금 통로 우려” 지적
서울 시내 NH농협은행 [뉴스1]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의 해외송금액이 최근 4년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 유출 통로로 악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분석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은행을 거쳐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은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원에서 ▲2022년 459억원 ▲2023년 942억원 ▲2024년 1038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9월 기준 송금액도 이미 798억원에 달해 작년 규모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총 2만1981건, 금액으로는 3605억원(2억5172만달러)이 송금됐다.
이 가운데 한국인 송금액은 3160억원(2억2045만달러)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특히 2023년부터 올해 9월 사이 농협은행을 통해 캄보디아로 송금된 계좌 중 지급정지 된 사례는 31건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 송금인지 점검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농협은행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캄보디아 현지 단체 AFESIP(위기의 여성들을 위한 행동)에 3만7000달러(약 5000만원)을 기부했다.
하지만 이 단체는 지난 2014년 창립자 ‘소말리 맘’이 성착취 피해자에게 허위 증언을 시킨 사실이 드러나 미국 내 비영리 기구가 폐쇄됐다. 미 대사관은 해당 단체의 자금 운용과 서비스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는데, 소말리 맘은 현재 대표직을 유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 의원은 “캄보디아 송금이 범죄자금 통로로 악용될 우려가 큰 만큼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현지 사업과 기부금 운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감에 증인으로 나온 강태영 NH농협은행장은 이 지적에 “범죄 가능성은 없다”며 “초국가적 범죄에 불법 자금이 흘러가지 않도록 철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답변했다.
AI 요약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의 해외송금액이 최근 4년 간 급증하면서 보이스피싱과 조직범죄 자금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송금된 금액은 총 3605억원으로, 이 중 한국인 송금액이 3160억원에 달하며, 최근 계좌 지급정지 사례도 31건이 확인됐다. 어기구 의원은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체계를 점검하고 기부금 운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