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2단계+' 국내 첫선…사고땐 운전자가 법적책임
한국GM, 슈퍼크루즈 탑재한
캐딜락 전기SUV 곧 출시
SDV 속도내는 현대차그룹
"최고수준 안전으로 승부"
2027년까지 2단계+ 기술확보
해외선 3단계까지 상용화
한국GM이 핸들에 손을 대지 않고도 고속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자율주행차를 연내 국내 최초로 들여온다. 한동안 주춤했던 승용차 자율주행 기술 경쟁이 불붙을 전망이다. 완성차업계는 2020년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했지만 소프트웨어 기술장벽과 사고 위험성 등 각종 난제에 발이 묶이며 국내에서 실전 기술을 확대하는 작업이 지체됐다. 하지만 한 단계 진전된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이 들어오며 기술 경쟁을 촉발할 '메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운전자가 핸들에서 손을 떼고도 알아서 주행하는 '슈퍼크루즈' 기능 탑재 차량을 올해 안에 국내에서 판매한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초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캐딜락 '에스컬레이드IQ' 모델 도입이 유력하다.
자율주행은 기술 수준에 따라 크게 0단계에서 5단계로 나뉜다. 0단계는 운전자가 모든 운전을 도맡아 하고 5단계는 자동차가 스스로 모든 운전을 하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2단계까지 상용화됐다. 자동차가 앞차와 옆차 간 거리를 유지해주지만 운전은 어디까지나 운전자가 핸들에 손을 댄 상태에서 해야 하는 기술이다. 일정 시간 이상 핸들에서 손을 떼면 지속해서 경고음이 울리도록 돼 있다.
실전 도입된 승용차 자율주행 기술 가운데 2단계와 3단계 사이에 있다고 평가받는 기술(2단계+)은 GM의 슈퍼크루즈와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이다. '2단계+' 자율주행은 운전자가 핸들에 손을 대지 않고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인데 이 기술이 탑재된 차량이 국내에 처음 들어오며 포문을 열게 됐다. GM은 앞으로 슈퍼크루즈 기능을 더 업그레이드한다는 방침이다. GM은 "핸즈프리 기술은 물론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도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을 2028년 출시할 예정인 에스컬레이드IQ 모델에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 2단계와 3단계 기술을 구분하는 최대 기준은 교통사고 시 책임 소재다. 2단계까지는 사고가 나면 운전자가 법적 책임을 지지만 3단계부터는 제조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 연내 도입되는 슈퍼크루즈 기능이 있는 GM 캐딜락 모델은 2단계+로 사고 시 운전자에게 책임이 돌아간다.
해외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고속도로 등 특정 구간에서 차량이 완전한 제어권을 가지면서 사고 시 운전자가 아닌 제조사가 책임지는 3단계 기술을 상용화했다. 하지만 아직 한국에선 책임 소재에 대한 부담과 각종 인증 문제로 국내 도입 계획은 없는 상태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 자율주행 상용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진화한 기술이 점차 국내에 들어오며 상용화 속도가 촉진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플래그십 차량인 제네시스 G90에 부분 자율주행 시스템(HDP)을 탑재할 계획이었지만 기술장벽에 부닥쳐 실전 도입을 무기한 연기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엔 소프트웨어 중심차량(SDV) 발전 속도가 빨라지자 물밑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종전 2단계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린 2단계+ 기술을 2027년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6월에는 자율주행 개발 한미 합작법인인 모셔널 최고경영자(CEO)에 인공지능(AI) 기술 전문가인 로라 메이저를 기용하며 속도전에 나섰다. 현대차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은 다른 신기술과 달리 고객 안전이 최우선시돼야 할 영역"이라며 "경쟁사와 차별화된 안전성을 제공하는 데 방점을 찍고 기술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이달 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자율주행 기술력 알리기에 나선다. 경주 보문단지 일대에서 국내 자율주행 전문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토종 자율주행 모델을 선보인다.
AI 요약
한국GM이 올해 국내에 최초로 '핸즈프리' 자율주행차인 슈퍼크루즈 기능을 탑재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IQ 모델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운전자가 핸들에서 손을 떼고도 차량이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2단계+ 자율주행으로, 책임 소재는 운전자가 지게 된다. 자동차 업계는 이 기술 도입이 국내 자율주행 기술 경쟁을 촉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