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무대 한가운데 펼쳐진 日 거리 … 스크린, 환상의 장막이 되다

헤드라인 2025-10-24 07:57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스크린이 공연예술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기술이 무대의 시각적 경험을 혁신하고 있다. 2025년 토니상 무대디자인상을 수상한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와 최근 개막한 '데스노트'는 LED 영상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실감나게 표현하며 관객의 몰입을 높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팬들은 스크린 사용을 제작비 절감의 수단으로 비판하며, 아날로그 방식의 공연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형 LED·실시간 영상 송출 연극·뮤지컬 무대풍경 바꿔 데스노트 등 적극 활용 눈길 시부야 거리를 무대에 구현한 '데스노트'. 일상 곳곳에서 마주치는 스크린이 공연예술에서도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됐다. 대형 LED(발광다이오드), 프로젝션 매핑, 실시간 영상 송출 등 다양한 스크린이 연극과 뮤지컬의 무대 위 풍경을 바꿔놓고 있다. 2025년 토니상 무대디자인상을 받은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는 무대 후면 전체를 스크린으로 채워 1920년대 파티의 현란한 조명과 환상을 구현했다. 금빛 조명을 통해 대저택의 공간감을 조성하거나, 푸른 밤바다 위 초록 불빛을 실감나게 재현했다. 때로는 추상적인 영상을 활용해 인물의 내면을 시각화하기도 했다. 지난 14일 개막한 '데스노트'에서도 이 같은 흐름은 이어진다. 작품은 빠르게 변하는 도심의 풍경과 인물의 심리를 LED 영상으로 담았다. 바닥·천장·벽면 전체에 소자 간격 3㎜의 고해상 패널 1380장을 설치해 입체적인 무대를 완성했다. 그 덕분에 관객은 시부야 거리, 기차역, 주인공의 방을 실감나게 접할 수 있다. 공연의 하이라이트인 테니스 대결 장면에서 LED는 화려한 영상을 통해 마치 무대가 360도 회전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국립극단의 '안트로폴리스 5부작' 중 서막을 열었던 '프롤로그/디오니소스'(연출 윤한솔)는 스크린을 보조 장치가 아닌 극의 중심 도구로 끌어올렸다. 무대 중앙의 대형 화면에는 배우들의 연기가 실시간 송출된다. 배우는 객석이 아닌 카메라를 향해 연기하고, 관객은 스크린을 통해서만 극의 흐름을 따라간다. 테베 신화를 현대 도시의 풍경으로 재해석한 이번 작품에서 스크린은 문명의 가속과 커뮤니케이션의 폭주를 상징하는 매체로 기능했다. 벨기에에서 활동하는 연출가 구자하의 '하리보 김치'에서도 스크린은 서사의 한 축을 이룬다. 본격적인 연극 시작에 앞서 포장마차에는 서울의 밤거리 풍경이 프로젝션 매핑으로 투사되고, 이후 무대 양옆 화면에서는 다큐멘터리 영상이 상영된다. 작가가 유럽에서 겪은 인종차별과 정체성의 혼란, 가족사적 기억을 덤덤히 비춘다. 이 같은 기술의 확장을 모든 관객이 반기는 것은 아니다. 연극·뮤지컬 팬들 사이에서는 "결국 무대 제작비 절감을 위한 수단이 아니겠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LED와 기존 무대 장치의 부조화가 오히려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해치고 몰입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래서인지 철저하게 디지털을 배제하고 아날로그에 집중하는 작품도 나오고 있다. 내년 1월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되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LED를 배제한 아날로그 무대로 주목받고 있다. 세트와 인형 등 아날로그적 요소들을 통해 오히려 판타지 세계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공연예술계 관계자는 "결국은 연출 의도가 중요하다"며 "스크린을 작품 성격에 맞게 활용하는지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