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자녀교육비까지 지원 명시
중국, 무차별 한국인재 영입 시도
KAIST 교수 149명이 지난해 초 중국 정부의 영입 제안 메일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KAIST 교수 149명에게 무더기로 이메일을 보내 영입 제안을 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의 기술을 빼가려면 인재 영입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전략인데, 파격적인 처우를 내세워 주요 대학 교수와 기업 실무진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KAIST로부터 제출받은 내부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해 초 KAIST 교수 149명에게 ‘중국의 글로벌 우수 과학자 초청 사업’라는 제목의 메일을 보냈다.
매일경제신문이 입수한 메일 내용을 보면, 중국 정부는 자연과학과 공학기술 등 분야 박사학위를 소지한 해외 우수 연구자들에게 무더기로 영입을 제안했다.
이들은 연간 기본급 최대 200만 위안(약 4억 원)과 주택기금, 사회보험, 자녀 입학 지원 등을 지원하겠다고 제안했다. 최소 3년간 중국에서 전일제로 근무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KAIST는 과학기술 연구와 인재 양성의 국가 거점 역할을 하는 만큼, KAIST 교수들이 이 같은 제안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해외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연구자 처우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영입 시도에 대응할 방법은 없다. 지금은 교수가 자발적으로 신고하지 않으면 파악할 방법도 없다.
국가정보원은 이 같은 신고를 받고 전수조사를 실시했는데, KAIST 외에도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유사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중국은 ‘천인계획’ 등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을 오래 전부터 시행하고 있다.
중국의 국내 인재와 기술 탈취 시도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 따르면 회원의 61.5%가 최근 5년 내 해외 연구기관의 영입 제안을 받은 경험이 있다. 이 중 대다수가 중국발이다. KAIST 연구보안팀은 이번과 유사한 형태의 이메일이 매달 2~3건씩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국내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해외의 기술 탈취 시도는 더욱 노골화될 것”이라며 “연구 보안이 곧 국가 보안인 만큼 ‘국가연구개발 혁신법 개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 연구기관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의원이 말하는 개정안은 국가연구개발과제의 현행 보안등급을 세분화해 보안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AI 요약
중국 정부가 KAIST 교수 149명에게 영입 제안을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파격적인 처우를 내세우고 있다. 이메일에는 최대 연간 200만 위안의 기본급과 함께 다양한 지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소 3년간 중국에서 근무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국회 최수진 의원은 이러한 상황이 연구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연구기관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