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단독] 車보험료 5년만 인상되나…손보사 인상안 ‘만지작’

헤드라인 2025-10-24 05:34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손해보험사들은 손해율 급등에 따라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5년 만에 이루어지는 조정이다. 올해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이 85.4%로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었고, 금융당국은 공식적으로 보험료 결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업계는 정부의 상생금융 기조를 고려할 때 부담이 커져 최소한의 동결 또는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손해율 급등에 “최소 3% 올려야” 금융당국 “보험료는 시장 자율” ‘당국이 내년 계획 물어봤다’ 얘기도 사진=연합뉴스 손해율 급등에 손해보험사들이 차보험료(자보료) 인상을 저울질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자보료를 올리게 되면 5년 만의 인상이 된다. 금융당국은 공식적으로는 “보험료 결정은 시장 자율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지만, 업계에선 상생금융 기조가 강해지는 상황에서 인하 혹은 동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보고 긴장하고 있다. 24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손보사들은 최근 내년 자보료 인상 등 보험료 조정 내부 검토에 돌입했다. 올 3분기 대형 4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보·KB손보)의 합산 적자 폭이 15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손보사들은 내부적으로 조정률 등을 살펴본 뒤 자보료 조정 계획을 연말에 손해보험협회에 보고할 계획이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은 손보사들에 직접 전화를 걸어 내년 자보료를 어떻게 할 것인지 문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보료는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되고, 서민경제 영향이 커 정부가 밀착 모니터링 하는 영역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자보료 결정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원론적 입장을 내놓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료는 회사별로 알아서 정하는 것”이라며 “당국이 계획을 취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손보사들은 지난 4년간 정부의 상생금융 기조에 자보료를 인하해왔지만 “더 이상 내릴 여력이 없다”는 분위기다. 내부적으론 “최소 동결, 적어도 3%는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시장 자율인데, 4년 동안 보험사들이 적자가 심해지는데도 자보료를 인하해왔겠느냐”며 “정권 1년 차고, 내년 지방선거가 있어 상생금융 압박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85.4%로, 전년 동기 대비 4.3%포인트 올랐다. 손익분기점은 약 80%인데, 현재는 운용할수록 적자란 뜻이다. 여름철 기록적 폭우로 손해율이 치솟았고, 공임비 등 기본 수가가 오른 반면 보험료 인상은 미뤄진 게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도 지난해 20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역성장했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 수리비는 2030년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한국은 최근 보험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돼 감독 당국과 업계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1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