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새 치매환자 22% 증가
실종신고 2만건·경보문자 57%↑
보급된 감지기는 5만여대에 불과
지역별 치매센터 등록률도 두배 차
치매 환자, 실종, 감지기, 치매안심센터 키워드로 AI가 생성한 이미지. [챗GPT]
최근 5년새 치매환자 수가 22% 급증하면서 이에 따른 실종 신고와 경보 문자 발송 건수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배회감지기 지급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실제 보급률은 전체 환자의 5.5% 수준에 그쳐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수와 함께 추정 치매환자 수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74만6000명 수준이었던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4년 91만명으로 5년만에 약 2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치매환자 실종신고와 경보문자 발송 건수도 꾸준히 늘었다. 2020년 1만2272건이던 실종신고 건수는 2024년 1만5502건으로 26.3% 증가했다. 치매 실종자를 찾기 위한 경보문자 역시 2022년 1139건에서 2024년 1794건으로 3년만에 5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치매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배회감지기를 대여·지급하고 있다. 복지부는 기업의 사회공헌을 통해 2021년 이후 9894대를 무료로 지급했으며 건보공단은 2016년 이후 신청자에 한해 4만611개의 배회감지기를 대여했다. 그러나 이를 모두 합쳐도 약 5만여개로, 전체 치매환자 수(91만 명)의 5.5% 수준에 불과하다.
한 경찰 관계자는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대부분 출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배회감지기의 역할이 현장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배회감지기는 초동조치와 실종의 장기화를 막을 수 있는 핵심 장치”라고 말했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전국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가 배회감지기 지급을 희망할 경우 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치매안심센터별 등록률은 43%에서 100%까지 지역별 편차가 큰 상황이다. 또 센터에서 신청한 배회감지기 수량에 비해 실제 보급되는 감지기는 5000개 이상 부족해 수요를 제대로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사회공헌사업을 통해 배회감지기 수량을 충당하다 보니 수요를 크게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또한 전국 치매안심센터에서 복지부에 신청한 수량을 토대로 배분하기 때문에 정확한 필요량을 산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2024 대한민국 치매현황’에 따르면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40년 180만명으로 지금의 2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2060년에는 최고치인 233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서 의원은 “고령화의 가속화로 인해 치매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 속도는 앞으로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다”며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경찰 출동 등 과도한 행정력 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배회감지기 보급률 제고를 통한 초기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별로 상이한 치매안심센터의 등록률을 개선하고 치매환자에게 배회감지기 대여·지급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강화해 보급률을 높이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AI 요약
최근 5년 동안 치매환자 수가 22% 증가하면서 실종 신고와 경보 문자 발송 건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전체 환자의 5.5%에 불과해 실질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2024년까지 치매환자 수는 91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실종신고 건수는 1만5502건으로 증가했다. 서미화 의원은 치매환자 실종신고에 따른 행정력 낭비를 줄이기 위해 배회감지기 보급률을 높이고 지역별 등록률을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