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시장 공급 부족 야기할 만한 충격”
불가리아 소피아의 러시아 루코일 주유소.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 주요 석유기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했다.
2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전장 대비 5.6% 오른 배럴당 61.79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역시 5.4% 상승한 65.99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제재는 루코일과 로스네프트 등 러시아 대형 석유기업과 자회사를 겨냥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예정됐던 정상회담을 취소한 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유럽연합(EU)도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금지 등을 포함한 추가 제재 패키지를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제재 여파가 글로벌 석유 공급에 차질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데이비드 옥슬리 최고 기후·원자재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조치는 내년 석유시장을 공급 부족으로 전환시킬 충격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식소뱅크의 올레 한센 원자재 전략 책임자는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수입국이 금융 제재를 우려해 대체 공급처를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실제로 중국 국영 에너지 기업들이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유보했다고 전했다.
다만 제재의 실질적 영향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UBS는 인도의 대응 여부와 러시아의 새로운 구매자 확보 능력이 변수라고 지적했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클라우디오 갈림베르티는 “지난 3년 반 동안 러시아산 원유 생산과 수익은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며 이번 제재도 제한적 효과에 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AI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 대형 석유기업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했다.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5.6% 오른 배럴당 61.79달러에 마감했으며, 유럽연합도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 수입 금지를 포함한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재가 글로벌 석유 공급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지만, 제재의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