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한미, 싸우고 금방 화해하는 자매같아”...경제학 대가의 분석은

헤드라인 2025-10-23 23:26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는 미국 정부의 조율 부재로 인해 발생한 매우 불행한 일이라고 폴라 부스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노동 시장이 폐쇄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비자 정책 문제로 인해 외국 인력의 참여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스 교수는 AI 발전과 글로벌 정세의 불안 요인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인류가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가능성도 내비쳤다.

폴라 부스 미국 럿거스대 교수 트럼프, 고강도 정부 효율화 공무원 줄고 일거리는 늘어 이민·인재유치 부서 엇박자 조지아 감금사태 근본 원인 미국인들 K컬처 호감도 높아 양국 경협에도 긍정적 영향 폴라 부스 럿거스대 교수가 22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는 아무런 논리도 찾을 수 없는, 매우 불행한 일입니다.” 폴라 부스 미국 럿거스대 교수는 22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정부를 축소하며 공무원을 대량 감축했지만, 동시에 더 많은 일을 해내길 바라면서 조직 간 조율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심각한 모순이 비논리적인 조치를 낳았다”고 덧붙였다. 부스 교수는 미국 노동경제학 분야의 전문가로, 뉴저지주 럿거스대 경영·노동관계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0년대 후반 미 노동부 장관을 지낸 존 던롭 밑에서 노동조합과 임금 구조 등을 연구했다. 1998년 럿거스대로 옮기기 전까지는 위스콘신 매디슨대 산업관계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근무하던 한국인 기술자들이 근로감독 과정에서 일시 구금되면서 한미 관계와 현지 경제에 큰 파장이 일어났다. 부스 교수는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미국 정부 내 조율 부재를 꼽았다. 그는 “트럼프는 협상 때마다 내세울 성과가 필요했다”며 “한국과의 협상에서는 ‘한국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고, 첨단 배터리 제조 등의 기술을 이전한다는 것’이 내세운 성과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일을 하려는 구조가 ‘논리 없는 행정 조치’로 이어졌다”며 “이 같은 모순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가 미국 비자와 이민 정책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은 단기 파견 인력이나 숙련 기술자가 합법적으로 일하기 위한 비자가 충분하지 않다. 이로 인해 노동시장이 폐쇄적으로 변하고 외국의 인력은 정상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게 됐다. 기업은 인력난에 시달리지만 정부는 이를 조율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고려대학교는 개교 120주년과 노동대학원 30주년, 노동문제연구소 60주년을 맞아 23~24일 양일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고려대학교] 하지만 부스 교수는 한미 관계에 대해 “근본적으로 가족과 같다. 싸워도 금세 화해하는 자매 같은 관계”라고 비유했다. 그는 “트럼프는 가까운 나라일수록 더 가혹하게 대했지만, 한국은 여전히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국”이라며 “한국 문화에 대한 친숙함이 경제 협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에 대해서는 “매우 큰 불확실성의 시대에 들어섰다”며 “노동시장이 얼어붙었다. 사람들은 직장을 그만두는 걸 두려워하고, 대학 졸업자들의 신규 채용도 줄고 있다”고 진단했다. 원인으로는 ‘급변하는 정책 환경’을 꼽았다. 하루아침에 관세 정책이 바뀌는 등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기업이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인공지능(AI)의 발전도 노동시장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그는 “AI의 발전이 어디로 향할지 확신할 수 없다”며 “AI가 앞으로 엄청난 발전을 이끌 것이라는 낙관론과 대규모 실업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관론이 공존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만 문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정세의 불안 요인과 기후위기가 경제와 맞물려 있다며, 이를 인류가 직면한 미래의 주요 위협으로 꼽았다. 그러나 부스 교수는 여전히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학문과 기술의 발전이 인류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삶의 수준이 크게 향상된 것도 낙관의 근거”라고 말했다. 이어 “기계는 인간을 대신할 수 없고, 진정한 경쟁력은 인간의 창의성과 사고에서 비롯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려대는 개교 120주년과 노동대학원 30주년, 노동문제연구소 60주년을 맞아 23~24일 양일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전환 시대의 새로운 노동 이슈’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부스 교수, 미카엘 한손 교수 등 세계 각국의 석학과 국내 연구자들이 참여해 글로벌 노동시장의 변화를 논의한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4 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