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또 판 흔드는 트럼프 …"푸틴과 회담 취소" "中은 핵군축 해야"

헤드라인 2025-10-23 08:56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를 동시에 압박하며 러시아와의 정상회담을 취소하고 중국에 대해 관세협상과 핵군축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으며, 이날 미국 재무부는 러시아에 대해 추가 제재를 부과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회담에서 희토류 및 핵문제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낼 것이라 전망하며,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중국 동시 압박 美 재무부, 러 에너지기업 제재 트럼프 "시진핑과 긴 회담 할것" SW 통제로 희토류에 반격 예고 24일 말레이서 미중 고위급 회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중국과 러시아를 동시에 압박하고 나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예정된 회담을 취소했고, 중국에 대해선 관세협상을 앞두고 핵군축과 러시아 원유 수입 중단까지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만나 "우리는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을 취소했다. 적절치 않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가 도달해야 할 지점에 이르지 못할 것 같았다"며 "그래서 회동을 취소했지만, 우리는 미래에 회동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앞서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상에 러시아가 진지하게 임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러시아에 추가 제재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우리 동맹국들이 이번 제재에 동참하고 따라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기업은 '로스네프트오일컴퍼니' '루코일' 등 러시아 대형 석유 업체 두 곳과 그 자회사들이다. 재무부는 이들 기업이 러시아 연방 경제의 에너지 부문에서 활동한 사실이 있어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으며, 이들 기업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50% 이상 지분을 보유한 모든 법인은 자산이 동결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뒤 향후 2주 내에 헝가리에서 미·러정상회담을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측 사전 협의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방안에 대한 이견이 확인되면서 정상회담은 사실상 무산 수순을 밟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미·중정상회담을 하는 것과 관련해선 "상당히 긴 회담이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뿐 아니라 미국산 대두 수출, 나아가 핵군축 문제까지 합의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희토류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며 "희토류는 하나의 혼란 요인이지만 주위에 희토류는 많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마 핵문제에 대해서도 합의에 이를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리가 핵무기가 가장 많고, 두 번째가 러시아, 중국이 멀리 떨어진 세 번째인데, 4~5년 안에 너무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에 맞서 미국산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의 수출을 통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미국의 소프트웨어로 만들어지고 있다"며 이번 조치의 광범위한 규모에 대해 강조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베선트 재무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를 대표로 하는 미·중 고위급 무역회담이 24일부터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시작된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3일 홈페이지를 통해 미·중 양국 협의에 따라 중국 무역협상을 이끄는 허 부총리가 24일 대표단을 이끌고 말레이시아를 방문해 미국 측과 무역협상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양측은 스위스 제네바(5월)와 영국 런던(6월), 스웨덴 스톡홀름(7월), 스페인 마드리드(9월)로 장소를 바꿔가며 고위급 회담을 열고 쟁점을 논의해왔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본문 수집 시각: 2025-10-23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