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8월 이어 3번째 동결
“부동산 대책 효과 고려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한은 별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동결 배경과 향후 금리 기조 등을 설명하고 있다. [한은 제공]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이창용 한은 총재가 향후 금리 전망에 대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필요는 있지만, 성장 리스크의 상·하방 요인이 모두 확대됐다”며 “금융 안정 리스크를 보며 추가 인하 시기와 폭을 결정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별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동결 배경과 향후 금리 기조 등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날 동결 배경으로 “주택시장과 가계상황을 보면 금융권 가계대출은 거시건전성 정책 영향으로 증가 폭이 줄었지만 수도권 주택시장은 지난 9월부터 오름세와 거래량이 다시 확대됐다”며 “추가적인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만큼 그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즉 소비와 수출 부문은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부동산 대책 영향과 1400원을 넘나드는 환율 변동성 등 금융 안정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수도권 주택 시장 과열 조짐이 보이고 있고 추가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만큼 통화 측면에서 부동산 가격을 자극하지 않아야 한다”며 “환율은 단기간에 변동성이 확대된 만큼 금융 안정 영향을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향후 금리 전망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큰 만큼 여러 상황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마지막 금통위는 다음 달에 열린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 관세 협상과 미중 관세가 어떻게 되느냐도 영향을 봐야 한다”며 “반도체 사이클은 좋게 가고 있지만, 미중간 갈등이 겹치면 어떻게 될지 몰라서 반도체 사이클도 봐야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11월 경기전망을 봐야 하기 때문에 어떻게 결정을 내릴지는 아직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11월 올해 마지막 금통위…관세·경기 등 고려
이 총재는 11월은 불확실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발표된 부동산 정책으로 가계부채 위험은 많이 사라졌지만, 향후 가격이 어떻게 될지에 대해선 유심히 보겠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가격뿐만 아니라 경기를 종합적으로 봐야 하는 문제”라며 “부동산이 한두 달 사이에 안 잡히더라도 부동산 가격 정책 방향은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 정책, 수도권 유입 인구도 다른 정책을 통해 최소화하려는 정책이 일관적으로 유지,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또 이 총재는 지난 7월과 8월에 이어 이번 3번째 인하 영향과 관련해 “금리를 인하했을 경우 투자비용이 줄어들면서 부동산 가격을 가속화할 위험이 있다”며 “지난 8월 이후 동결로 인해 (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지만 인하 속도와 폭을 천천히 가져가는 기대를 가져가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리 결정은 부동산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계속 (안정화될 때까지) 계속 기다린다는 건 아니”리며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는데, 경기가 폭락하면 부동산 (상승) 가격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한은은) 물가를 잡고 정부정책을 주도해가지만, 통화정책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을 올리거나 부추기는 스탠스로는 가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3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