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결제 기업 페이프로토콜이 차세대 결제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신규 백서(Whitepaper)를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백서에는 ▲스테이블코인 및 결제 전용 블록체인 ‘페이체인’ ▲결제 금융화 프로토콜 ‘P2F(Pay-to-Finance)’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정산 플랫폼 ▲페이코인(PCI)의 소각 모델 및 유통 구조 개편 등 핵심 전략이 종합적으로 담겼다.
가장 큰 변화는 자체 개발한 새로운 결제 특화 블록체인 네트워크 ‘페이체인(PayChain)’을 운영하는 것이다.
페이프로토콜은 이 블록체인에 결제에 꼭 필요한 기능만 담아냈으며 이용자들은 복잡한 ‘가스비(트랜잭션 수수료)’ 걱정 없이 달러, 원화 등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또는 페이코인(PCI)을 결제 수수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페이코인은 결제를 단순한 금전거래에 국한하지 않고 금융활동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모델 ‘P2F(Pay-to-Finance)’도 선보였다.
이 시스템은 결제시 사용자가 예치한 자산을 여러 블록체인에서 운영하는 투자 풀에 자동으로 넣어 수익을 만들어내고 그 수익을 결제한 구매자, 판매자, 플랫폼 모두가 나누는 구조다.
토큰 이코노미 측면에서는 기존 페이코인(PCI)의 유통 구조를 대폭 손질했다. 가장 큰 변화는 수수료 기반 자동 소각 모델 도입이다.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의 50%는 자동으로 소각되며 나머지 50%는 생태계 운영 재원으로 재단에 환류된다.
AI 요약
가상자산 결제 기업 페이프로토콜이 신규 백서를 공개하며 스테이블코인 및 결제 전용 블록체인 '페이체인' 등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새로운 'P2F(Pay-to-Finance)' 모델을 통해 결제 시 사용자의 자산을 투자 풀에 자동으로 넣어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금융활동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트랜잭션 수수료의 50%를 자동 소각하는 새로운 유통 구조를 도입해 토큰 경제를 혁신할 계획이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3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