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상생 흔들
AI센터논란 불씨 확산
도의회 의원 합의 불발
연합 연내 출범 불투명
광주광역시청·전라남도청.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의 출범이 또다시 멈춰 섰다. 전남도의회가 규약안 심의를 연이어 보류하면서 지역 상생의 상징으로 추진돼 온 ‘광역연합’의 연내 출범이 불투명해졌다.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23일 회의를 열었지만 김영록 전남지사가 제출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상정하지 않았다. 위원회는 전날에도 규약안을 논의했으나 의원 간 의견이 엇갈리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로써 지난 15일에 이어 세 번째 보류다.
첫 번째 회의에서는 ‘광역의원 구성 비율’이 쟁점이었으나, 이번에는 최근 국가 AI컴퓨팅센터 후보지 논란이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삼성SDS 컨소시엄이 센터 후보지로 광주가 아닌 전남을 선택하자 광주시와 시의회가 반발했고, 전남도의회 내부에서는 이를 ‘상생 정신에 반하는 행태’로 보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강문성 기획행정위원장은 “컴퓨팅센터 후보지 발표 이후 광주시가 무리하게 자리를 요구하는 모습에 반감이 커졌다”며 “광주의 주장은 상생의 원칙에 맞지 않다고 판단해 규약안 심사를 보류했다”고 말했다. 그는 “전남은 22개 시·군이 각각 다른 입장을 갖고 있어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광주시의회는 이미 지난 16일 행정자치위원회에서 규약안을 원안 가결하고 24일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전남도의회가 다음 달 3일 정기회에서 규약안을 다루지 않을 가능성이 커, 공동 출범 일정은 사실상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AI센터 후보지 문제로 촉발된 갈등이 자칫 상생 기반 자체를 흔들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특별광역연합이 양 시·도가 2년 넘게 준비해 온 공동협력 플랫폼인 만큼, ‘광주·전남 상생’의 향배가 주목된다.
AI 요약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의 출범이 전남도의회 규약안 심의 보류로 불투명해졌다.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규약안 논의에서 의원 간 의견이 엇갈려 세 번째 보류 결정을 내렸고, AI컴퓨팅센터 후보지 논란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AI센터 후보지 문제로 인한 갈등이 상생 기반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3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