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의 AI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
AI CFO 선봬…AI로 재무관리 케어
미래 현금흐름 예측·분석 5분내 가능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가 지난 16일 서울 코엑스 더 플라츠에서 열린 주관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AWS AI x Industry Week 2025)’에서 AI CFO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핀다]
핀테크 기업 핀다(대표 이혜민·박홍민)가 국내 최초로 스타트업 전용 AI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가칭)을 출시하며 기업 금융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핀다는 지난 10월 16일 서울 코엑스 더 플라츠에서 열린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 주관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AWS AI x Industry Week 2025)’에서 스타트업 대표들의 재무 고민을 해결해주는 AI 뱅킹 플랫폼 ‘핀다 유니콘’(가칭)의 핵심 솔루션인 ‘AI CFO’를 선보였다고 22일 밝혔다.
AI CFO는 핀다가 지난 1년 반 동안 고심하며 만들어온 신사업 ‘핀다유니콘’의 핵심 기능으로, A부터 Z까지 모든 기능이 AI 에이전트로만 구현돼 각 에이전트가 전문 업무를 분담하고 협업해 정확도를 높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날 발표된 ‘AI CFO’는 모두 AI 에이전트로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실제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일하는 것처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창업자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제품력과 사업 전략에만 더 몰두할 수 있도록 믿을 수 있는 전문 재무 관리인이 있는 셈이다.
기장·분석·예측·보고 등 재무관리 전 과정을 각각의 AI 에이전트가 분담하고 상호 협력하도록 설계돼 실제 사람 수준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대형언어모델(LLM)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엔진이 기업의 거래 내역, 매출, 비용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리스크 등을 정밀하게 예측한다.
여기에 핀다가 자체 개발한 재무 로직 전용 언어인 ‘프리즘·PRism’을 적용해 미래 예측도 더 쉬워졌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케팅 비용은 20% 늘리고, 매출은 30% 늘리고, 인프라 비용은 10% 늘었을 때의 런웨이를 보여줘”라고 명령하면, 예상 시나리오에 따라 기대되는 매출과 영업비용, 현금잔액 등의 수치를 정리해 보여준다.
또 단 5분 만에 미래 현금흐름 예측 시나리오 분석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사업 현황에 따라 여러 예상 시나리오가 실시간으로 반영돼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고, 직관적인 시각화 데이터 차트를 제공해 빠르고 쉬운 이해를 돕는다.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는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세상을 혁신하는 아이디어를 실제 제품과 서비스로 구현하는 데에만 시간을 쏟아도 부족한데, 불확실한 현금흐름 문제가 발목을 잡는 경우가 허다하다”라며 “핀다의 AI CFO솔루션 서비스가 대한민국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를 더욱 견고하고 다양해질 수 있는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AI 요약
핀테크 기업 핀다가 국내 최초로 스타트업 전용 AI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을 출시하며 기업 금융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 플랫폼의 핵심 솔루션인 ‘AI CFO’는 모든 기능이 AI 에이전트로 구축되어 있어 신뢰성 높은 재무 관리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핀다는 이 서비스를 통해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2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