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근로형태별 조사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
정규직과 임금격차 180만원
고령화에 간병수요 늘어나자
고령층 비정규직 23만명 ‘쑥’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000만명에 가까워진 가운데 6일 서울시어르시취업지원센터에 노인들이 출입하고 있다. 2025.8.6
건설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여파로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고령층 비정규직 규모는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만 명 증가했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는 16만 명 늘어난 1384만5000명을 기록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가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 임금근로자(2241만3000명)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2%로,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2021년 8월(38.4%)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23만3000명 늘어난 304만4000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이자, 2021년(27만 명 증가)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다. 국가데이터처 송준행 고용통계과장은 “60대는 인구 증가뿐 아니라 고용률 상승의 영향도 받았다”며 “특히 보건·사회복지업 분야에서 증가세가 뚜렷하며,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 중 노인 일자리 참여 비중이 높은데 이들 대부분은 비정규직”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같은 기간 보건·사회복지업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21만 명 늘어난 반면, 건설업과 제조업에서는 각각 5만1000명, 3만2000명 줄었다. 건설경기 위축과 설비투자 감소로 고임금 비정규직 일자리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격차는 벌어졌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올해 6~8월 월평균 임금은 208만8000원인데 반해,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89만6000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80만8000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두 집단간 임금 격차는 2004년 61만6000원 이후 지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비정규직을 한시적·비정형·시간제 근로자 3유형으로 살펴보면, 비정규직 내에서도 급여차가 존재했다. 시간제 근로자는 근로시간이 적어 월평균 임금이 111만5000원에 불과했다. 시간제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올해 6~8월 기준 303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또 자발적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인원도 늘고 있는 추세다. 자발적 비정규직을 택한 근로자는 전체 비정규직 가운데 67.8%로, 1년 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은퇴한 고령자를 중심으로 월 100~200만원대 비정규직 일자리를 택하면서 부족한 노후연금을 보충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고령자로서는 노후도 대비하면서 동시에 근로를 통한 사회활동을 할 수 있기에 비정규직을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특히 비정규직의 약 절반 이상인 57.9%는 근로조건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민생회복소비쿠폰 등을 통해 소비를 진작시키며, 올해 하반기 들어 경기회복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회복이 생산·투자를 증가키는 선순환을 이룰 것이라는게 정부 시각이다. 다만 올해 8월 기준으로 봤을땐, 아직 소비회복의 온기가 국민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미치진 못하고 것으로 풀이된다.
비정규직·고령자 위주로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특히 30대 청년의 경우 지난해와 올해 2년에 걸쳐 약 15만명이 비정규직 일자리를 선택했다. 이는 지난 2022년 30대 비정규직이 일시적으로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모양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가 없자, 비정규직을 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AI 요약
건설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역대 최대치인 856만8000명으로 증가했으며, 고령층 비정규직 규모는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올해 6~8월 기준으로 180만8000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수준에 이르렀고, 비정규직 내에서도 급여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비정규직과 고령자 중심으로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어 청년층의 고용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2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