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당시 긴급 비축
마스크 수요 급감하면서 재고 증가
[매일경제DB]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당시 긴급 비축한 마스크 1800여만 장이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조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8월 기준 정부 비축 마스크 3728만여 장 중 절반가량인 1861만여 장의 유통기한이 6개월도 남지 않았다.
나머지 절반의 유통기한도 1년에서 1년 6개월이어서 국민 세금으로 구매한 방역물자가 활용되지 못한 채 대규모로 폐기될 개연성이 높아졌다.
정부는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하자 마스크를 ‘긴급수급 조절 물자’로 지정하고, 추경 예산으로 1억5000만장을 비축한 데 이어 2023년까지 매년 수천만 장을 추가로 구매했다.
그러나 팬데믹 종료 이후 마스크 수요가 급감하면서 2022년 1억2700만장에 달하던 연간 방출량이 지난해 600만장 수준으로 급감했다. 재고는 급격히 늘어났다.
박 의원은 “코로나19 이후 마스크 수요 급감이 예견됐음에도 정부가 수요 예측과 재고 조정에 신경을 쓰지 않아 국민 혈세 수십억원이 든 마스크가 창고에서 썩어가고 있다”며 “비상 상황에 대비한 예비 비축이 필요하다는 점은 공감하지만 관리부실로 대량 폐기가 반복된다면 혈세 낭비”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통기한이 다 돼 가는 마스크는 복지시설이나 해외 취약국 지원 등 사회공헌 사업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I 요약
정부가 코로나19 시기에 비축한 1800만 장의 마스크가 유통기한 만료로 인해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박성훈 의원은 마스크 수요가 급감하며 정부가 적절한 재고 관리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하고, 이로 인해 국민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마스크를 복지시설이나 해외 지원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2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