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월비 1.2% 상승
상승 폭 전월 대비 확대
명절 전 농축산물 ‘껑충’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 품목 중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연합뉴스]
9월 생산자물가가 전달 보다 0.4% 상승했다. 여름철 주택용 전기요금 할인과 SK텔레콤 이동통신요금 인하 조치가 끝나면서, 생산자물가가 한달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2020년=100)로 전월 120.11보다 0.4%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지난 6월 0.1%과 7월 0.4% 등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이다 8월 -0.1%로 소폭 하락했다다. 9월에 다시 반등한 것이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선 1.2% 올라 전월 0.6% 보다 상승 폭이 두 배가량 커졌다.
품목별로 보면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이 전월 대비 1.1% 상승했다. 이 중 여름철 누진구간 완화 조치가 9월부터 종료된 영향으로 주택용 전력이 14.4% 급등했다. 서비스 물가도 0.4% 올랐는데, 특히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가 4.0% 상승해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지난 8월 SKT 서비스 요금 인하가 종료된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9월 생산자물가 상승은 이동통신 서비스와 주택용 전력 요금의 한시적 인하가 종료된 영향이 컸다”며 “두 품목의 영향이 없었다면 총지수는 전월 대비 0.1%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농림수산물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축산물은 명절 수요 증가로 쇠고기(6.9%)와 돼지고기(3.3%) 등의 상승으로 2.0% 올랐다. 농산물은 햅쌀 출하 지연과 잦은 강우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쌀(4.7%)과 상추(38.9%)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AI 요약
9월 생산자물가가 전달 대비 0.4% 상승하며 한 달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고, 이는 여름철 주택용 전기요금 할인과 SK텔레콤 요금 인하 조치 종료의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4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2% 상승하며 전월 대비 상승폭이 두 배로 커졌다. 특히 주택용 전력 요금은 14.4% 급등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물가는 4.0% 올라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2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