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증권 제공.
삼성증권이 국내 자산관리 시장에서 업계 최초로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을 돌파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삼성증권의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는 5449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말에 기록했던 2855명보다 91%가 늘어났다.
연령대별로는 젊은 자산가들의 증가율이 고객 수 성장세를 주도했다. 2020년 말 대비 2025년 9월 말 30대 고객 수는 19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40대(184%)와 20대(178%)가 뒤를 이었고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도 증가세를 보였다.
초부유층 고객의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이들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 수준에서 2025년 9월 말 11.5%로 11.5%포인트 감소했다.
삼성증권은 “초부유층 고객들이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유동성을 투자 자산으로 빠르게 리밸런싱하는 적극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짚었다.
초부유층 고객들의 해외자산 투자 비중은 높아졌다. 2020년 말 12.6%에서 2025년 23.2%로 10.6%포인트 증가했다. 주로 국내외 채권과 해외주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절세 매력도가 높은 저쿠폰 국채 그리고 글로벌 AI 인프라 및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구성이 그 이유로 분석된다.
한편, 최근 국내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발맞춰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의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이 올해 들어서 5.1%포인트 늘어났다. 이들 고객의 국내 주식 매매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SK하이닉스, 한화오션, 알테오젠, NAVER,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카카오, 현대로템 순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 대형주와 더불어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방산, 원전, 인프라 관련 종목에 집중됐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최근 초고액자산가들이 채권·해외투자·사모대체상품 등 글로벌 자산 다각화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증권은 2003년 업계 최초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2010년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 SNI(Success & Investment)를 선보였다. 이 밖에 프라이빗뱅커(PB)의 컨설팅 역량, 최적화된 상품 솔루션, 그리고 강력한 인프라를 결집한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투자은행(IB)은 기업 오너 고객 대상으로 IPO·M&A·가업승계 자문을 제공하며, 리서치센터는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시한다.
유정화 삼성증권 SNI/법인전략담당 상무는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 달성은 고객이 보내주신 신뢰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가치를 최우선에 두고 대한민국 대표 증권사로서 업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I 요약
삼성증권이 30억원 이상의 고객 수가 5000명을 돌파하며 국내 자산관리 시장에서 처음으로 이룬 성과를 발표했다. 젊은 자산가들의 급격한 증가가 이 성장세를 이끌었으며, 고객의 해외자산 투자 비중도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고객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 앞으로도 업계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2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