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방위 국정감사에 이통사 CEO 모두 소환
해킹 사태 난타…피해 대응·사후 조치 질의
(왼쪽부터) 김영섭 KT 대표이사,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뉴스1]
초유의 해킹 사태를 일으킨 이동통신회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수장들이 국정감사에 줄줄이 소환됐다. 통신사를 겨냥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은 정보통신기술(ICT)업계를 관통하는 최대 현안이다. 부실한 보안 체계에 대한 매서운 질타와 함께 이용자 피해 구제 방안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ICT분야 국정감사를 열었다. 이날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모두 출석했다. 이 가운데 KT가 집중 포화 대상이 됐다.
KT에서는 지난 8월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발생했다. 직접적으로 금전 피해를 본 이용자가 잇따르면서 통신시장에 충격을 줬다. 피해 상황 개별 고지가 이뤄지지 않고, 범행 도구로 지목된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의 회수가 늦어지는 등 사고 수습이 더딘 부분도 문제가 됐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펨토셀 23만대 중 최근 3개월간 사용 이력이 없는 4만3506대의 펨토셀의 점검을 약속했지만 회수된 펨토셀은 8190대, 분실 확인된 펨토셀은 1만985대에 불과하다. 2만대 이상이 여전히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다”며 “장비에 대한 조속한 점검과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질책했다.
김 대표는 “개인정보 유출 정황 고객 2만2227명에 대해 피해 고지를 하고 배상을 진행하겠다는 보고를 받았다. 유심·단말기 교체 지원, 보험 가입 등 추가 보상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라며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는 정부와 경찰 조사 결과가 나오면 피해 내용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챗GPT]
SK텔레콤에서는 지난 4월 2696만건에 달하는 가입자 정보가 유출되는 유심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SK텔레콤은 위약금 면제 조치에 나서면서 7조원 규모의 손실을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700억원에 그쳐 통신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 대표가 지난 청문회 때 계약해지 위약금을 면제할 시 7조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1인당 10만원씩 70만명에게 700억원이 들었다”라며 “당시 위증을 한 셈”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위약금 면제를 연말까지 연장하라 방송통신위원회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직권조정 결정도 수용하지 않았다”라며 “사고 이후 통신당국의 조치를 따르지 않는 것은 반성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최근 서버 침해 정황이 드러난 LG유플러스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피해 사실을 신고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모바일을 이용해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에 접속 시 2차 인증 단계에서 의미 없는 숫자를 입력하고 특정 메모리값을 변조하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등 모두 8개의 보안 문제가 확인됐다.
홍 대표는 “아직 침해 사실 확인은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사이버 침해 사실을 확인한 이후에 KISA에 신고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여러 혼란과 오해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AI 요약
이동통신회사 대표들이 대규모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국정감사에 소환되어 부실한 보안 체계에 대한 질타를 받았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피해를 입은 고객이 많아, 빠른 회수 및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보안 문제가 발견된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을 조사 중이며, 향후 한국인터넷진흥원에 피해 사실을 신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1 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