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라면 우지파동’ 40년만에 정면승부…소기름으로 튀긴 클래식 돌아온다

헤드라인 2025-10-21 12:38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삼양라면이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36년 만에 '삼양라면 1963'이라는 이름으로 돌아온다. 이번 제품은 소기름을 사용하여 면을 튀기는 방식으로, 1963년 당시의 맛을 현대 소비자 입맛에 맞게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업계에서는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 시리즈에 이어 새로운 히트작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989년 단종됐던 삼양 라면 ‘삼양라면1963’으로 재출시 1963년 최초의 삼양라면. 삼양식품.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다가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으로 단종됐던 삼양라면이 ‘삼양라면 1963’으로 이름을 바꿔 36년 만에 돌아온다. 일반적으로 팜유로 면을 튀기는 것과 달리 이 제품은 과거 삼양라면처럼 소기름을 사용한다. 21일 삼양식품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신제품인 ‘삼양라면 1963’을 다음달 내놓을 예정이며 출시행사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1963은 삼양라면이 첫 출시됐던 1963년에서 따온 상품명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삼양라면 1963’은 면을 튀길 때 소기름을 사용하고 60여 년 전 라면을 요즘 소비자들 입맛에 맞게 개선했다. 삼양식품의 국물라면 가운데 처음으로 우골(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써 진한 국물 맛을 살렸다. 현재 삼양라면이라는 이름의 제품이 있지만 팜유가 사용되기 때문에 우지를 쓰는 원래 제품과는 다르다. 가격대는 ‘프리미엄 라면’대로 책정될 것으로 보여 개당 1500원 정도인 신라면 블랙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양식품이 재출시에 나선 것은 1980년대에 우지로 만든 라면을 맛본 소비자들의 요청이 이어진 데 따른 것이다. 또 팜유로 튀긴 라면과 차별화될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우지를 쓴 라면은 1989년 ‘우지 파동’으로 전부 단종됐다. 당시 삼양식품이 공업용 우지로 면을 튀겼다는 익명 투서가 검찰청에 접수되고 언론 보도를 타면서 여론이 악화됐다. 하지만 이후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가 자체 조사로 해당 기름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고 1995년 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 1997년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나며 우지 파동은 종결됐다. 하지만 우지로 튀긴 라면을 만드는 기업으로 낙인이 찍힌 삼양식품은 긴 기간 부진을 면치 못했다. 1980년대 초 농심에 국내 라면시장 1위 자리를 뺏긴 데 이어 우지 파동 이후 오뚜기에 2위 자리까지 내주게 된다. 이후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이 글로벌 시장에서 대흥행한 2020년대 들어 다시 2위 자리를 탈환하고, 국내 라면업계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올라서게 된다. 업계에서는 삼양식품이 ‘삼양라면 1963’을 출시하는 것을 두고 불닭볶음면 시리즈를 이을 새로운 히트작을 만들기 위한 묘수로 보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제품 포트폴리오가 불닭 시리즈로만 한정돼 있는 것이 삼양식품 입장에서는 오랜 고민거리이자 풀어야 할 숙제였다”며 “다음달 프리미엄급 라면 출시로 시장에 또 다른 히트작이 탄생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1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