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공급망 패권전쟁 격화
中 광물 수출통제 강화에 반격
호주와 희토류 채굴 협정 체결
6개월간 30억달러 투자하기로
전략자원 공급망 다변화 분주
시진핑과 한국서 담판 앞두고
연일 관세협상 압박 수위 높여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핵심 광물·희토류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국·호주 프레임워크'에 서명했다. EPA연합뉴스
전 세계 희토류 공급망을 쥔 중국의 희토류·기술 수출 통제 강화에 맞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호주와 손잡고 희토류·핵심 광물 확보에 나섰다. 중국이 방위·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출을 대미 무역협상 지렛대로 삼고 있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호주와의 협력으로 중국에 대한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취지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개최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핵심 광물·희토류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국·호주 프레임워크'에 공동 서명했다.
양국은 협정문에서 "국방·첨단 기술 제조업 기반을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핵심 광물과 희토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속화하기 위한 공동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또한 보증, 대출, 지분 투자, 규제 완화 등으로 양국 정부와 민간 부문 자금을 동원해 핵심 광물과 희토류의 채굴·가공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본과 운영비용을 조달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에 따라 양국 정부가 향후 6개월간 총 30억달러(약 4조2000억원) 이상을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공동 투자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은 '팩트시트(사실보고서)'를 통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해당 협상이) 4~5개월간 이어졌다"면서 "약 1년 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많은 핵심 광물과 희토류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그때에는 가치가 2달러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희토류와 핵심 광물은 무기는 물론 자동차, 반도체 등 각종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에 쓰인다. 앞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오는 12월 1일부터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천명한 것도 희토류가 미국에 그만큼 중요하다는 방증이었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은 중국 측 조치를 두고 과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진주만 폭격'처럼 기습적이고 충격적이라는 평가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미국을 상대로 한 중국의 희토류 자석 수출량은 최근 급감하고 있다. 이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희토류 자석 수출량이 지난달 420.5t으로 지난 8월보다 28.7%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회담에서 중국이 대미 희토류 수출 허가를 신속하게 처리하기로 한 것과 상반된 결과라며 중국이 글로벌 희토류 자석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미국과 무역협상을 하는 데 지렛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짚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세협상을 타결하기 위한 압박을 이어나갔다. 그는 이날 미국이 한국, 일본, 유럽연합(EU)과 체결한 무역협정처럼 중국과도 "매우 공정한 협정을 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도 우리를 이용하려 했지만 더는 아니다. 우리는 매우 공정한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일본과도 매우 공정한 무역협정을 체결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는 장소인 한국과도 공정한 협정을 했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떠날 때는,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는 매우 강력한 무역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양측 모두 만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AI 요약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호주와 협력하여 중국의 희토류 및 핵심 광물 수출 통제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협정을 체결했다. 양국은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해 향후 6개월간 30억달러 이상을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협상이 미국에게 필수적인 자원의 확보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도 공정한 합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1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