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한국 출판계, 다시 1990년대를 펼치다

헤드라인 2025-10-21 08:13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신경숙의 소설 '외딴방'은 출간 30주년을 맞아 재조명되며, 그 간결하고 실험적인 고백체로 한국문학의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창동의 '소지'와 양귀자의 '모순' 등 다른 작품들도 함께 재출간되며, 과거와 현재의 문학적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현대 독자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문학적 가치와 주제의식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

신경숙 '외딴방' 30주년판 이창동 '소지'·양귀자 '모순' 90년대 유명 소설 재출간 붐 보편적 서사에 MZ들도 주목 "저마다의 일생에는, 특히 그 일생의 동터오르는 여명기에는 모든 것을 결정짓는 한순간이 있다." 프랑스 철학자 장 그르니에의 이 문장을 책 맨 앞의 제사(題詞)로 삼은 한 권의 책이 1995년 한국 서점가를 뒤흔든 적이 있었다. 신경숙 소설 '외딴방'이었다. 당시 신경숙 약력은 '정읍 출생, 서울예전 문예창작과 졸업'으로 10대 시절이 '빈칸'이었다. 소설 '풍금이 있던 자리' '깊은 슬픔'의 막대한 성공으로 작가 삶의 절정을 향하던 만 32세의 신경숙은 '슬픔을 토막 쳐내는 문장'으로 꽉 찬 이 소설 '외딴방'으로 파장을 일으켰다. 16세부터 19세까지의 '가리봉동 여공' 시절을 처음 고백했기 때문이었다. '외딴방'의 출간은 1990년대 한국문학을 재정의한 문학적 사건이었고, 이후 '외딴방'은 석박사 학위 논문이 20편에 달한다. '외딴방' 30주년 기념판을 비롯해 1980~1990년대 찬란한 광휘를 온몸에 입었던 한국소설이 재출간되고 있다. 21일 문학출판계에 따르면 양귀자 '모순', 이창동 '소지', 박완서 '미망', 은희경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등이 재출간돼 작가들의 옛 여명을 서점가에 끌어오고 있다. '외딴방'은 "사실도 픽션도 아닌 그 중간쯤의 글이 될 것 같은 예감이다"라는 소설 첫 줄처럼 작가의 경험이 실험적 고백체로 구현된 문제작이었다. 제목 '외딴방'은 16세 나이였지만 '18세 이연미'란 가명으로 입사해 큰오빠, 외사촌 언니와 새우잠을 자던, 을씨년스러운 37개 방 중 하나를 뜻한다. '구로공단 동남전기주식회사 A라인 2번' 자리와 자신의 골방으로 가는 길밖에 몰랐던 신경숙의 이 책은 산업화 뒤안길에서 기억되지 못하는 아이들, 영원히 잊히지 않는 이름인 '희재 언니'에 대한 부채감, 스타 반열에 올랐지만 여전히 '쇠스랑처럼' 삶을 휘감는 기억이 가득하다. '외딴방'은 올해 5월 서울국제도서전에서 박찬욱 영화감독의 찬사를 받으며 재조명됐다. 뉴욕타임스, NPR, 커커스리뷰의 외신평도 뒤표지에 새겨졌다. 과거를 소환한 또 다른 현대문학 작품은 이창동 소설집 '소지'로 올해 8월 출간됐다. 이제는 먼 기억으로 저물어가지만 '버닝' '밀양'을 연출한 영화감독 이창동 이전에 '젊은 소설가 이창동'이 있었다. 단편 '소지'는 행방이 묘연한 남편을 둔 한 노년 여성과 그의 가족사를 다룬 비극적 작품이다. 남편과 아버지의 실종으로 아내와 형제는 고통받았는데 소설 말미에 이르러 심장을 꽉 쥐는 듯이 아팠던 아내의 비밀이 드러난다. 제목 '소지'는 '종이(紙)를 태우다(燒)'란 뜻으로, 전하지 못한 억울한 말을 적은 종이를 태웠던 과거의 의식과 연결된다. 실종자의 아내는 손주 식이와 함께 남편과 관련된 종이 더미에 불을 지른다. 하나 남은 어금니를 뽑아 불길에 집어넣는 마지막 결말이 충격적이다. "그것은 흉측한 모습으로 뿌리까지 검게 썩어 있었다. 그녀는 아직도 작은 아픔의 덩어리인 것만 같은 신체의 일부를 불길 속으로 던져넣었다." 이창동이란 이름의 무게감 덕분인지 퍼플리셔스 위클리, 아리 애스터 영화감독의 추천사가 뒤따랐다. 양귀자 '모순'의 출간연도는 1998년이지만, 놀랍게도 이 소설은 최근 3~4년간 주요 서점가 종합 베스트셀러 최상위권에서 도무지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모순'은 만우절에 태어나 만우절에 결혼한 일란성 쌍둥이 자매가 '행복과 불행'을 나눠 갖는 야누스적 삶에 관한 이야기다. "인생은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탐구하는 것이다. 실수는 되풀이된다. 그것이 인생이다"란 이 소설 최고의 문장처럼 정답이란 없는 모순의 시대가 재도래했기 때문인지, '사랑은 결혼으로 완성되는가' '행복한 사람도 왜 허무를 느끼는가'란 주제의식이 영원해서인지, '모순'은 1990년대를 향유한 적 없는 MZ세대의 폭발적 지지를 획득하고 있다. 한국문학 최고의 거목인 박완서의 1998년작 '미망', 은희경의 1995년작 '새의 선물'과 1998년작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도 새 옷으로 갈아입고 독자와 만나고 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1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