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예상된 거래절벽 … 호가는 안떨어졌다

헤드라인 2025-10-20 08:48 매일경제 원문 보기
AI 요약

서울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력이 발효된 20일, 부동산 시장은 매수 문의가 전무한 '개점휴업' 상태로 접어들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실수요자들이 전월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이 나타나며, 매도인들은 호가를 높이거나 매물을 거두고 있어 거래 절벽이 우려된다. 부동산 거래량이 급감하고 규제 강화로 추가적인 시장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 토지거래허가제 첫날 19일까지 '막판거래' 몰렸던 마포·성동·분당 중개업소에 오전 내내 매수문의 뚝 끊겨 3중 규제지역 포위 거래 '뚝' 호가만 오르고 매물은 줄어 2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일부 지역에 '갭투자'를 전면 금지하는 토지거래허가제가 처음 적용된 가운데 서울 마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혹시나 해서 아침부터 출근해 자리를 지켰지만 매수 문의는 하나도 없었다. 전용면적 59㎡ 매물조차 집주인들이 호가를 전부 15억원 이상으로 높여 놓은 상황이다."(서울 성동구 행당한진타운아파트 단지 인근 A 공인중개사)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력이 발생한 20일,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거래 문의가 뚝 끊긴 '개점휴업' 상태에 돌입했다. 갭투자 막차 수요가 지난 주말을 끝으로 사라지면서 시장은 급격히 냉각되는 분위기다. 10·15 부동산대책으로 서울 25개 자치구와 경기도 12개 지역은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 더해 토허제까지 적용된 '3중 규제'가 본격 시행됐다. 이번 조치로 주택 매매 시 2년 실거주 요건이 의무화되면서 사실상 갭투자가 원천 차단됐고, 시장은 한동안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토허제 시행 첫날인 이날 서울 마포구와 성동구, 경기 성남시 분당구 등 주요 지역 부동산에는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 성동구의 A공인중개사는 "집값이 15억원을 넘으면 대출한도가 4억원으로 줄어 매수인들의 고민이 크다"며 "매도인은 호가를 높이고 매수인은 낮추려는 줄다리기가 이어져 당분간 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분당구 서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 주말까지도 문의가 이어지면서 시범우성에서는 막바지 계약이 체결됐다"면서도 "월요일이 되니 아침부터 전화 한 통 없이 조용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매수 문의는 끊겼는데 집주인들은 오히려 호가를 높이거나 매물을 거두고 있어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규제 발표날(10월 15일) 7만4044개였던 서울 아파트 매물은 19일 7만1656개로 줄었다. 1년 전 같은 날(8만9131건) 대비로는 20% 가까이 감소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은 전월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모양새다. 성동구의 또 다른 공인중개사는 "오늘(20일) 오전 매수 문의는 없었지만, 전월세 물건을 보러온 손님만 세 팀이 있었다"며 "당장 집을 사기가 어려워져 일단 전월세로 원하던 동네에 실거주하려는 손님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주말까지는 규제 시행 직전 '막차 수요'가 대거 몰리며 거래량이 급증했다. 지난 15일 하루 동안 거래된 서울 아파트는 432건으로 이달 일일 매매 거래량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장 시장도 표정은 밝지 않다. 재건축은 조합설립인가, 재개발은 관리처분인가 이후 조합원 지위 양도가 제한돼서다. 1가구 1주택자로 10년 이상 보유·5년 이상 거주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등기 이전까지 매매가 불가능해졌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조합원 지위 양도 조건이 까다로워져 물건을 팔려다가 거둔 재건축 사업장의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재개발은 이번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지만, 세금 규제도 강화한다는 소문이 돌며 물건을 내놓으려는 다주택자들이 나오고 있다"며 "앞으로 재개발 '피(프리미엄)'가 조정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0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