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합병설에 주가 비정상 급등, 금융위 조사해야”
이억원 위원장 “공식 발표 전 변동성 인지”
20일 정무위 국감, 가계부채·플랫폼 이슈 집중
‘두나무-네이버’ 건, 증인 불출석에도 ‘뜨거운 감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20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서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 ‘네이버페이’ 운영사 네이버파이낸셜 간의 합병설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날 국감에서는 합병설 보도 전후로 관련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했다는 ‘사전 거래 의혹’이 공식 제기됐다. 이에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살펴보겠다”고 답해 금융당국의 조사를 시사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이억원 위원장에게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 합병설과 관련해 공식적인 문서가 나오기 전에 시장이 과도하게 출렁였다”며 “이는 주가 급등을 이용한 사전거래 의혹이 짙은 사안”이라고 질의했다. 민 의원은 “금융당국이 해당 의혹에 대해 즉각적인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이억원 위원장은 “공식 문서(공시) 없이 시장이 출렁인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금융당국 수장이 양사 합병설과 관련한 시장 변동성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초 이번 정무위 국감에서는 두나무 측 증인 출석이 예상됐으나 불발되면서 관련 질의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했다.
하지만 야당을 중심으로 합병 추진 과정에서의 시장 교란 의혹이 제기되면서, 빅테크와 가상자산 선두 주자 간 결합은 시작부터 금융당국의 엄격한 심사 대상이 됐다.
한편, 금융당국은 양사의 결합이 현행법상 금융위 사전신고 대상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위원장은 앞서 가상자산 사업자(VASP)와 네이버파이낸셜과 같은 전자금융업자(간편결제) 간의 합병은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상 신고 대상이라는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다.
이는 두 회사가 합병을 최종 결정할 경우, 단순히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넘어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깐깐한 자금세탁방지(AML) 관련 심사까지 통과해야 함을 의미한다.
시장에서 기대를 모았던 ‘네이버페이·업비트’ 연합전선 구축이 ‘사전 거래 의혹’이라는 암초를 만나면서, 향후 금융당국이 내놓을 조사 결과와 특금법상 신고 수리 여부가 ‘빅딜’ 성사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AI 요약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합병설과 관련한 사전 거래 의혹이 제기되며, 금융위원장이 이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민병덕 의원은 공식 문서 없이 시장이 출렁인 점을 강조하며 금융당국의 즉각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합병이 결정될 경우, 두 회사는 금융정보 분석원의 자금세탁방지 심사를 포함한 여러 규제를 통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0 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