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단지 ‘태자단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가 캄보디아 스캠(사기)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1000명 남짓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가운데, 실제 가담 인원이 더 많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통계가 나왔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3명에 불과했던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의 차이는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2024년 3248명 등 2000∼3000명대로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이 매년 수천 명씩 귀국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도 8월까지 864명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2024년 한국에서 캄보디아로 향한 한국인은 5476명→3만5606명→8만4378명→10만820명이었다. 같은 기간 캄보디아에서 입국한 한국인은 각각 5363명→3만2397명→8만1716명→9만7572명이다.
올해의 경우 1∼8월 6만7609명이 캄보디아로 향했지만 6만6745명만 되돌아왔다.
태국, 베트남 등 인접국을 통해 캄보디아로 들어가 돌아오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캄보디아 이민청이 집계한 캄보디아 입국 한국인 수치는 2021년 674명, 2022년 6만4040명, 2023년 17만171명, 2024년 19만2305명, 2025년 1월∼7월 10만6686명 등이다. 특정 연도에 따라 우리 통계보다 2배 가까이 많다.
태자단지 둘러싼 높은 외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이들 사이에서도 캄보디아 ‘웬치’(범죄단지)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스캠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정부가 추정한 1천명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범죄단지 근무자의 지인 A씨는 연합뉴스에 “한국인이 못해도 2000∼3000명 될 것”이라며 “비행기 타고 정직하게 나가는 사람만 있는 게 아니라 중국 등을 거쳐 밀항하는 사람도 있다”고 전했다.
범죄단지에서 일했던 20대 남성 B씨도 “근무하던 단지에만 한국인이 50여 명이 있었다”며 “그 중 몇몇은 돈을 벌어서 새로 회사를 차린다고 다른 지역으로 떠나기도 했다”고 했다.
특히 현지 범죄조직에 감금되는 피해를 입거나 폭행·고문으로 사망한 한국인도 알려진 것을 훨씬 웃돌 것이라고도 했다. A씨는 일부 범죄단지는 자체 소각장이 있다며 “국경지대 범죄단지에서는 장기 매매도 이뤄진다. 웬치에서 죽은 한국인이 한두 명이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감금·납치·폭행 피해를 본 한국인을 구조하기 위해선 캄보디아 범죄단지와 연관이 있는 한국인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찬대 의원은 “현지 증언대로라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며 “개별 출입국 기록과 영사·경찰 자료를 정부 차원에서 전면 대조해 미복귀자에 대한 재점검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30일 대표 발의한 영사조력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하고,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동종 사건이 발생하는 만큼 이에 선제 대응하고 인력·예산이 지원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AI 요약
정부는 캄보디아 스캠 산업에 연루된 한국인이 약 1000명으로 추정되나, 실제 수치는 그보다 훨씬 많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이 매년 수천 명씩 귀국하지 않고 있으며,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864명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개별 출입국 기록과 영사·경찰 자료를 대조하여 미복귀자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본문 수집 시각: 2025-10-20 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