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저체중·당뇨 방치시 '치매' 부른다"…최대 1.7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운동, 식습관, 체중, 정신건강 관리가 치매 발병 위험과도 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만성질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12년에 걸친 초대형 코호트 연구를 통해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치매 전환을 높이는 핵심 요인을 밝혀냈다. 혈당 조절이 어려운 당뇨병 환자는 1.37배, 우울증이 있는 경우 1.7배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높았다.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9~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40세 이상 성인 33만6,313명을 최대 12년(평균 6.7년)간 추적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70살 이후부터 치매 전환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우울증(1.7배) ▲운동 부족(1.2배) ▲저체중(1.3배) ▲당뇨병(1.37배)이 알츠하이머 치매로의 전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됐다. 반면 규칙적인 신체활동, 적정 체중 유지...
기사 본문
만성질환 관리 부족할 수록 위험…33만 명 연구결과 우울증, 운동 부족, 저체중,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 부족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우울증, 운동 부족, 저체중,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 부족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성훈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경도인지장애(MCI) 환자가 치매로 진행되는 핵심 요인을 이같이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2009~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40세 이상 성인 33만 6313명을 대상으로 최장 12년(평균 6.7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70세 이후 치매 전환율이 높아졌으며, 우울증 환자 1.7배,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자 1.2배, 저체중 1.3배, 당뇨병 환자 1.37배 더 높은 위험을 보였다. 반대로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사 본문
경도인지장애 진단 성인 33.6만명 12년 분석 당뇨 환자 치매 위험 1.37배…우울증 1.7배↑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강성훈·오경미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교수, 강민웅 암연구소 연구교수, 백경원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우울증, 운동 부족, 저체중, 당뇨병이 경도인지장애에서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성훈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33만 명이 넘는 경도인지장애(MCI) 환자를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중 2009년부터 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40세 이상 성인 33만 6313명을 대상으로 최대 12년(평균 6.7년) 동안 건강 상태와 생활습관, 동반질환, 소득수준, 거주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70세 이후부터 치매 전환률이 급격히 높아졌으며, 특히 우울증이 ...
기사 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당뇨병·심장질환·저체중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지 않으면 치매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은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로 이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행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경도인지장애는 정상적인 노화와 치매의 중간 상태를 말한다. 기억력·언어능력 등 인지 기능이 저하되지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유지된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40세 이상 성인 33만 6313명을 최대 12년(평균 6.7년) 간 추적 관찰했다. 건강 상태와 생활습관, 동반질환, 소득수준, 거주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우울증·운동 부족·저체중·당뇨병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70세 이후부터 치매 전환률이 급격히 높아졌고,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7배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