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BMW, 2028년 '수소차' 경쟁 뛰어든다[재팬모빌리티쇼 2025]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BMW iX5 하이드로젠.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제공 재팬모빌리티쇼 2025가 열린 도쿄 빅사이트에서는 수소전기차 기술 경쟁이 펼쳐졌다. 한국과 일본 완성차들이 수소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독일 BMW가 참전을 선언했다. BMW그룹은 2028년 출시를 예고한 BMW 'iX5 하이드로젠' 프로토타입을 일본 시장에 처음 공개했다. iX5 하이드로젠의 수소 구동 기술은 BMW가 토요타와 함께 개발 중인 3세대 연료전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현재 BMW는 독일 뮌헨과 슈타이어의 BMW 역량 센터에서 기술 검증을 위해 iX5 하이드로젠 초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있다. BMW는 향후 글로벌 각국에서 iX5 하이드로젠 시범 운행 테스트를 마힌 후 2028년부터 양산형 모델을 생산할 계획이다.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부사장은 “iX5 하이드로젠은 혁신적인 수소차 모델이면서도 BMW로서 브랜드 특유의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B...
기사 본문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 '재팬 모빌리티쇼 2025'서 iX5 하이드로젠 전시 "수소차 어려움 많아… 선구자로서 규모의 경제 이뤄야" "기술력은 이미 양산 수준…인프라 확충 기다려야" 29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5’ 현장에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이 한국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한국자동차기자협회 [데일리안 도쿄= 편은지 기자] "수소 모터를 어떻게든 시장에서 발전시키려는 각 주체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충전소 네트워크를 추가해주는 노력은 현대차에 대단히 감사드리는 입장입니다."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한국 기자단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수소차를 위해 오랜 시간 협력한 동맹업체 토요타의 본고장에서, 경쟁 모델인 넥쏘를 전시한 현대차에 고마움을 표한 것이다. 수소 승용...
기사 본문
"전기차만으론 전동화 역부족…희귀금속 없는 수소차, 제2 옵션" "도요타로부터 연료전지 수급…현대차와 유럽서 충전소 확대중"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이 29일 일본 도쿄 빅 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5' BMW 부스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취재진과 인터뷰를 진행하는 모습(공동취재). 2025.10.29. (도쿄=뉴스1) 김성식 기자 = "수소연료전지차(FCEV)를 개발하면서 우리의 2세대 연료전지 구동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성숙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소비자에게 출시할 준비는 이미 마쳤다. 그럼에도 2028년을 양산 시기로 잡은 이유는 인프라 때문이다. 수소 충전소가 충분히 있어야 수소차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은 2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를 계기로 만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BMW의 수소차 개발 상황을 묻는 말에 "현재로선 충전소가 부족해 2028년을 수소차...
기사 본문
미하엘 라트 BMW 부사장 韓취재진 인터뷰 "기술은 성숙, 충전소 필요…2028년 출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은 "배터리 전기차는 희귀한 소재가 없을 때 제작이 어렵다"면서 "희귀금속에 의존하지 않는 수소 전기차가 회복탄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라트 부사장은 29일 열린 재팬모빌리티쇼2025 사전공개행사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수송부문 탈탄소화를) 전기차만으로는 100% 구현하지 못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BMW는 한국의 현대차, 일본 도요타·혼다와 함께 수소 기반의 구동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완성차 회사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만든 전기로 모터를 돌리고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29일 재팬모빌리티쇼2025 BMW 전시관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부문 총괄부사장.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완성차 제작은 공급망 관리가 회사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협력사 관리는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