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실험 대신 독성 평가하는 '3D 간-혈관-면역세포'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0-30 12:43: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동아사이언스 2025-10-30 11:46:14 oid: 584, aid: 0000035091
기사 본문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글로벌의약바이오연구단 연구진.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개발중인 의약품이 간 독성을 일으키는지 확인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독성실험 시 동물실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이유빈 글로벌의약바이오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3D 간-혈관-면역세포 공동배양 모델’을 구축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의 면역매개 간 독성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간세포, 혈관내피세포, 말초혈액단핵세포를 젤라틴 기반 3D 하이드로젤에 공동배양해 실제 간의 면역·혈관 환경을 모사한 모델을 개발했다. 개발한 모델에 염증 유도제를 처리하자 체내 염증 발달 물질 분비, 약물대사 효소 억제 등 체내 대사 중 나타나는 간 기능 이상이 재현됐다. 간 손상 모델에 면역억제제를 처리하자 간 독성 반응이 완화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의 모델은 실제 약물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 면역 모사 모델이라는 점이 입증된...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30 09:22:21 oid: 018, aid: 0006150753
기사 본문

한 세포 내에서도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 분석…맞춤형 치료 기반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다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

전체 기사 읽기

헬스조선 2025-10-30 11:34:16 oid: 346, aid: 0000099476
기사 본문

한 세포 내에서도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 분석… 맞춤형 치료 기반 연구팀./사진=세브란스병원 제공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다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는 약이 들지 않아, 면역항암제를 투여하기 전 치료 효과를 미리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30 09:23:16 oid: 016, aid: 0002549751
기사 본문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왼쪽부터)·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 [세브란스병원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