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7개
기사 본문
한 세포 내에서도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 분석…맞춤형 치료 기반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다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
기사 본문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글로벌의약바이오연구단 연구진.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개발중인 의약품이 간 독성을 일으키는지 확인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독성실험 시 동물실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이유빈 글로벌의약바이오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3D 간-혈관-면역세포 공동배양 모델’을 구축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의 면역매개 간 독성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간세포, 혈관내피세포, 말초혈액단핵세포를 젤라틴 기반 3D 하이드로젤에 공동배양해 실제 간의 면역·혈관 환경을 모사한 모델을 개발했다. 개발한 모델에 염증 유도제를 처리하자 체내 염증 발달 물질 분비, 약물대사 효소 억제 등 체내 대사 중 나타나는 간 기능 이상이 재현됐다. 간 손상 모델에 면역억제제를 처리하자 간 독성 반응이 완화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의 모델은 실제 약물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 면역 모사 모델이라는 점이 입증된...
기사 본문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왼쪽부터)·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 [세브란스병원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
기사 본문
한 세포 내에서도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달라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 분석… 맞춤형 치료 기반 연구팀./사진=세브란스병원 제공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다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는 약이 들지 않아, 면역항암제를 투여하기 전 치료 효과를 미리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기사 본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분석 아형별로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달라져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 (사진= 세브란스 제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인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과는 달리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이...
기사 본문
우리 연구진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면역체계 이상반응에 따른 간독성 위험을 발견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향후 독성 실험에서 동물실험 의존도를 낮추고, 인체 적용 가능성을 높인 새로운 실험실 플랫폼으로 이목을 끈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소장 허정두)는 이유빈 글로벌의약바이오연구단 박사팀이 '3차원(3D) 간-혈관-면역세포 공동배양 모델'을 구축,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의 면역매개 간독성 위험을 정량 평가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모델 적용 확장 개요도 이번 연구로 감염병·의약품 등 외부 요인에 의한 면역체계 이상 반응과 그로 인한 간 손상을 재현하고, 약물 위험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안전성 평가 플랫폼을 제시했다. 면역독성 기반 신약 개발 평가 체계 확립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개발 모델은 기존 2D 단층배양과 달리 △간-혈관-면역세포 직접 상호작용 △염증·대사 억제 동시 관찰 △치료제 반응성 검증 등 종합 연구 결...
기사 본문
'세포 GPT'로 세포와 면역 반응 정밀 분석…맞춤형 치료 기반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교수,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 공동 연구진. /사진제공=연세세브란스병원 연세세브란스병원 연구진이 세포 단위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르는 아형을 찾아냈다. 30일 연세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김창곤 교수, 이비인후과 고윤우·심남석 교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이인석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진은 최근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구분해 발견했다. 면역항암제는 환자 면역 체계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면역항암제 중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는 약효가 좋아 여러 암종에서 널리 쓰인다. 다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에선 약이 들지 않아 면역항암제 투여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