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 동교동 사저, 국가유산 된다…'조건부 가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명예도로 김대중길에 세워진 안내판을 살피고 있다. 마포구 제공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마포구가 2년 가까이 추진해온 등록 작업이 국가유산청 심의에서 ‘조건부 가결’ 결정을 받았다. 사저가 최종 등록되면 ‘김대중 기념관’ 조성과 보존위원회 운영 등 후속사업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지난 28일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가 동교동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사저는 30일간의 등록 예고·공고 절차를 거친 뒤, 최종 심의를 통해 공식 등록 여부가 확정된다. 이곳은 김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머물며 민주화운동의 중심이자 상징으로 자리했던 장소다. 마포구는 2023년부터 사저의 보존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고,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된 이후 현 소유주와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쳐 같은 해 11월 소유자 동의를 받아...
기사 본문
박강수 마포구청장 노력 2년 결실 눈앞 보존위원회 통해 김대중 기념관 조성 추진 예정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2년간 추진해온 노력이 결실을 앞두고 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명예도로 김대중길에 세워진 안내판을 살피고 있다. 마포구 제공.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는 지난 28일 열린 등록 검토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 이에 따라 동교동 사저는 최종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가 확정된다. 이번 결정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거주하며 민주화운동과 국민통합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동교동 사저가 국가 차원에서 보존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마포구는 지난해부터 사저 보존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지난해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된 뒤 박강수 구청장은 현 소유주와 여러 차례 협의하며 보존 방안을 모색했고, 같은 해...
기사 본문
동교동 사저,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조건부 가결’ 박강수 마포구청장. [마포구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2년 가까이 이어온 노력이 결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는 10월 28일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검토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 이번 결정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머물며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동교동 사저가 국가 차원에서 보존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되자 마포구는 해당 매입자인 현 소유주와 사저 보존 방안에 대해 여러 차례 논의를 나눴다. 역사적 가치가 큰 동교동 사저에 대한 의견을 같이하며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해 왔다. 이후 2024년 11월, 소유자 동의를 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기사 본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부부가 40년 가까이 지낸 서울 마포구 동교동 가옥.〈사진=국가유산청〉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40년 가까이 살았던 '동교동 사저'가 국가유산이 됩니다.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어제(28일) 문화유산위원회를 열어 해당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에 등록하기로 예고하고 관련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생긴 지 50년이 넘은 근현대문화유산 가운데 보존 등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등록하는 국가유산입니다. 최종 등록된다면 공식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이 됩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부부가 40년 가까이 지낸 서울 마포구 동교동 가옥 대문.〈사진=국가유산청〉 동교동 가옥은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1963년부터 평생 함께 살아온 공간입니다. 전세였던 작은 주택을 사들여 부부 이름을 나란히 문패에 달았습니다. 영국 유학과 일산 사저 생활, 대통령 시절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198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