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제약바이오업계 "초고율 관세 우려 벗었다"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0-30 10:33: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0-30 07:19:11 oid: 014, aid: 0005426732
기사 본문

100% 고율 관세 부과 리스크 해소돼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파이낸셜뉴스] 5개월간 이어진 한미 간 관세 협상이 지난 29일 저녁 사실상 타결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안도하는 분위기다.이번 합의로 의약품이 최혜국 대우를 받게 되고,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에는 무관세가 적용되면서 최대 100%를 넘을 수 있던 고율 관세 부담이 해소됐다. 30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관세 협상 세부 내용이 조율됐다. 품목관세 중 의약품과 목제품은 최혜국 대우를,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는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번 결과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미국에 생산시설이 없는 기업의 의약품에는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완화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에도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 후 20...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30 10:18:37 oid: 421, aid: 0008573202
기사 본문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복제약 수출 부담 완화 미국 약가정책·공급망 안정성, 한국 투자 패키지 이해관계 일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오후 경북 경주시 힐튼호텔 경주에서 열린 '이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AFP=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한미 관세협상에서 한국산 제네릭(복제약)이 무관세 적용 품목으로 공식 확정되면서 국내 기업의 부담이 줄고 불확실성이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제조업 중심 품목이 주목받는 가운데 의약품이 포함된 것은 단순한 산업 배려가 아니라, 미국이 주도하는 약가 인하 정책과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 재편 전략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전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미 관세 협상'을 마무리했다. 의약품과 목재에 대한 품...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30 09:50:56 oid: 003, aid: 0013568388
기사 본문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 15% 바이오시밀러 관세 등 추이 주시 [경주=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10.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을 타결한 것에 대해 제약바이오 업계는 "당초 거론됐던 100% 관세 우려에서 벗어나 부담이 완화됐다"며 안도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경북 경주에 마련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대한민국 정부는 29일 미국과 관세 협상 세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품목관세 중 의약품·목재품은 최혜국 대우를,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복제약)·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 대해선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은 15%다. 그동안...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30 09:26:52 oid: 417, aid: 0001109983
기사 본문

관세 15% 부과 전망… 제네릭은 무관세 시밀러 언급 없었지만… "사업 환경 나쁘지 않다"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사진은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한미정상회담 기념촬영을 진행한 이재명 대통령(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뉴시스(대통령실 제공)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미국의 의약품 관세 정책 불확실성을 덜게 됐다. 미국 정부가 한국에 대해 의약품 분야 관세 최혜국 대우와 함께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무관세를 약속한 덕분이다. 국내 주력 산업 중 하나인 바이오시밀러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관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전망이 밝다는 평가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경북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 미디어센터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 브리핑을 통해 "품목 관세 중에서 의약품은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다"며 "제네릭 의약품 등은 무관세를 적용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혜국 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