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란히 문패 달렸던 'DJ 부부' 동교동 집, 국가유산 된다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0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0-30 07:23:2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1개

JTBC 2025-10-29 13:57:20 oid: 437, aid: 0000462307
기사 본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부부가 40년 가까이 지낸 서울 마포구 동교동 가옥.〈사진=국가유산청〉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40년 가까이 살았던 '동교동 사저'가 국가유산이 됩니다.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어제(28일) 문화유산위원회를 열어 해당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에 등록하기로 예고하고 관련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생긴 지 50년이 넘은 근현대문화유산 가운데 보존 등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등록하는 국가유산입니다. 최종 등록된다면 공식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이 됩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부부가 40년 가까이 지낸 서울 마포구 동교동 가옥 대문.〈사진=국가유산청〉 동교동 가옥은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1963년부터 평생 함께 살아온 공간입니다. 전세였던 작은 주택을 사들여 부부 이름을 나란히 문패에 달았습니다. 영국 유학과 일산 사저 생활, 대통령 시절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1980년대...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30 06:42:12 oid: 016, aid: 0002549627
기사 본문

동교동 사저,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조건부 가결’...심의 거쳐 최종 등록 여부 결정 마포구, 최종 등록까지 행정력 총동원...보존위원회 통해 김대중 기념관 조성 추진 예정 김대중 사저 [헤럴드경제=박종일 선임기자]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2년 가까이 이어온 노력이 마침내 결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는 10월 28일,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검토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 이번 결정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머물며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동교동 사저가 국가 차원에서 보존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마포구는 지난해부터 동교동 사저 보존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되자 마포구는 해당 매입자인 현 소유주와 사저 보존 방안에 대해 여러 차례 논의를 나눴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0-30 06:35:08 oid: 422, aid: 0000796263
기사 본문

한국 민주주의의 상징적 공간으로 꼽히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가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됩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문화유산위원회는 지난 28일 열린 회의에서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자리한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여부를 심의한 뒤 조건부 가결했습니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이란 이름으로 등록될 전망입니다. 김 전 대통령이 2009년 타계할 때까지 정치 인생 대부분을 보낸 동교동 사저는 군사 독재 시절 가택 연금을 당하는 등 민주화 투쟁을 대표하는 장소로 꼽힙니다. #김대중 #동교동사저 #국가등록문화유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데일리 2025-10-29 12:52:10 oid: 018, aid: 0006149996
기사 본문

국가유산청,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1963년부터 2009년 타계 때까지 거주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3년부터 거주했던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이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정문. (사진=국가유산청)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이다. 김 전 대통령이 군사 독재를 상대로 한 민주화 투쟁 시기 투옥, 사형 선고, 가택연금, 납치 사건 등의 배경이 된 장소다. ‘동교동계’라는 정치 세력의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김 전 대통령은 2009년 타계할 때까지 이곳에서 지냈다. 현재 건물은 2002년 대통령 퇴임에 대비해 기존 건출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사저동과 경호동을 신축한 것이다. 2019년 이희호 여사 별세 뒤 유산 분쟁이 이어졌으며, 지난해 사저가 민간에 매각되기도 했다. 마포구는 소유자 동의를 받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유산 지정을 신청했다....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9 13:09:47 oid: 421, aid: 0008570257
기사 본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3년부터 거주했던 공간 경호동 및 마당(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었던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가 국가 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있는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은 김 전 대통령이 1963년부터 거주했던 곳으로, 한국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현재의 건물은 2002년 대통령 퇴임에 대비해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 지은 사저동과 경호동으로 구성돼 있으며, 우리나라 근현대 정치사의 중요한 흔적으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외관 전경(국가유산청 제공) 이 가옥은 대통령 퇴임 후 사저로 사용될 목적으로 건축돼 공적·사적·경호 기능이 공존하는 공간적 특징을 지닌다. 앞서 등록된 '서울 이화장',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등 다른 정부 수반 가옥과 비...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9 15:28:10 oid: 014, aid: 0005426424
기사 본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한국 민주화의 상징적 공간인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울 마포구 동교동 사저가 국가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28일 문화유산위원회가 동교동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밝혔다. 등록이 확정되면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이 된다. 김 전 대통령은 1960년대 초 이곳에 터를 잡았다. 미국 망명과 영국 유학, 일산 거주 기간을 제외하고 2009년 서거할 때까지 대부분을 보냈다. '동교동계'라는 정치세력의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군사정권 시절 쉰다섯 차례 가택 연금을 당한 곳이기도 하다. 서울 마포구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와 김대중도서관 주변 길을 김대중길로 명명한다고 밝히고 지난 20일 명명식을 열었다. 보존을 두고는 논란이 있었다. 지난 2019년 이희호 여사 별세 뒤 유산 분쟁이 이어졌고, 지난해 사저가 민간에 매각됐다. 마포구는 소유자로부터 동의받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유산 ...

전체 기사 읽기

아이뉴스24 2025-10-29 13:46:13 oid: 031, aid: 0000976073
기사 본문

국가유산청, "故김대중 전 대통령 거주 공간으로 우리나라 민주화의 상징적 가치" 국가유산청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소재한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다고 밝혔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3년부터 거주했던 공간이다. 현재의 건물은 2002년 대통령 퇴임에 대비해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사저동과 경호동을 신축한 것으로,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역사적·정치사적 가치가 크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정문 [사진=국가유산청] 현재의 건물은 대통령 퇴임 이후 사저로 사용될 목적으로 건축되어, 공적·사적·경호 기능이 공존하는 공간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앞서 등록된 서울 이화장이나 신당동 박정희 가옥 등 다른 정부수반가옥과 비교했을 때 차별성이 있다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2024년 현 가옥의 소유자가 일반인으로 변경돼 변형이 우려된다는 점도 고려됐다...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30 01:24:15 oid: 005, aid: 0001811066
기사 본문

한국 민주화의 상징적 공간인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울 마포구 동교동 사저( 사진 )가 국가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28일 문화유산위원회가 동교동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밝혔다. 등록이 확정되면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이 된다. 김 전 대통령은 1960년대 초 이곳에 터를 잡았다. 미국 망명과 영국 유학, 일산 거주 기간을 제외하고 2009년 서거할 때까지 대부분 시간을 이곳에서 보냈다. ‘동교동계’라는 정치 세력의 이름도 여기에서 비롯됐다. 김 전 대통령이 군사정권 시절 55차례 가택 연금을 당한 곳이기도 하다. 당초 마포구는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라는 이름으로 신청했으나, 전문가 논의 과정에서 명칭 지침에 따라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으로 조정됐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심의를 거쳐 등록을 확정할 방침이다.


헤럴드경제 2025-10-30 07:51:12 oid: 016, aid: 0002549661
기사 본문

동교동 사저,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조건부 가결’ 박강수 마포구청장. [마포구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2년 가까이 이어온 노력이 결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는 10월 28일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검토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 이번 결정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머물며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동교동 사저가 국가 차원에서 보존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되자 마포구는 해당 매입자인 현 소유주와 사저 보존 방안에 대해 여러 차례 논의를 나눴다. 역사적 가치가 큰 동교동 사저에 대한 의견을 같이하며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해 왔다. 이후 2024년 11월, 소유자 동의를 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30 07:54:58 oid: 277, aid: 0005671684
기사 본문

박강수 마포구청장 노력 2년 결실 눈앞 보존위원회 통해 김대중 기념관 조성 추진 예정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2년간 추진해온 노력이 결실을 앞두고 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명예도로 김대중길에 세워진 안내판을 살피고 있다. 마포구 제공.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는 지난 28일 열린 등록 검토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 이에 따라 동교동 사저는 최종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가 확정된다. 이번 결정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거주하며 민주화운동과 국민통합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동교동 사저가 국가 차원에서 보존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마포구는 지난해부터 사저 보존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지난해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된 뒤 박강수 구청장은 현 소유주와 여러 차례 협의하며 보존 방안을 모색했고, 같은 해...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30 10:17:19 oid: 015, aid: 0005204311
기사 본문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명예도로 김대중길에 세워진 안내판을 살피고 있다. 마포구 제공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마포구가 2년 가까이 추진해온 등록 작업이 국가유산청 심의에서 ‘조건부 가결’ 결정을 받았다. 사저가 최종 등록되면 ‘김대중 기념관’ 조성과 보존위원회 운영 등 후속사업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지난 28일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가 동교동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사저는 30일간의 등록 예고·공고 절차를 거친 뒤, 최종 심의를 통해 공식 등록 여부가 확정된다. 이곳은 김 전 대통령이 1960년대부터 서거 직전까지 머물며 민주화운동의 중심이자 상징으로 자리했던 장소다. 마포구는 2023년부터 사저의 보존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고,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된 이후 현 소유주와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쳐 같은 해 11월 소유자 동의를 받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