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000보”…하버드가 공개한 치매 늦추는 방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구진, 50~90세 성인 296명 9.2년 관찰 결과 3000~5000보 걸어도 인지저하 3.1년 늦춰 5000보 이상은 7년 지연…7500보 정도로 충분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걷기 활동이 알츠하이머 병 위험이 큰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이미 치매 위험 요인이 쌓이기 시작한 노인이라도 매일 꾸준히 걷는 것만으로 인지 기능 저하 시점을 최대 7년까지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4일(현지시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걷기 활동이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큰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환자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다. 연구진은 ‘하버드 노화 뇌 연구(HABS)’에 참여한 50~90세 성인 296명을 평균 9.2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시작 시점에 이들은 모두 ...
기사 본문
하버드 의대 연구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치매 발병 위험이 높은 노인은 하루 몇 천 보만 걸어도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협력 비영리 병원 네트워크인 매스 제너럴 브리검((Mass General Brigham) 연구자들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에 발표한 논문에서 하루 3000~5000보를 걷는 사람은 3000보 미만으로 걸은 또래에 비해 인지 기능 저하가 평균 3년 늦었으며, 5000~7000보를 걸을 때 보호 효과가 가장 커 평균 7년 지연됐다고 보고했다. 운동과 치매의 관련성은 이미 잘 알려졌으며, 많은 신경과 전문의들은 신체 활동이 치매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말한다. 이번 연구는 운동이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인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단백질(아밀로이드와 타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누가 운동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기사 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매일 5000보만 걸어도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사례의 거의 절반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신체활동 부족은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브리검 재스미어 찻왈 교수팀은 '하버드 뇌 노화 연구'에 참여한 인지기능이 정상인 50~90세 296명을 대상으로 만보기로 측정한 하루 신체 활동량, Aβ·타우 단백질을 장기간 측정한 PET 영상, 최대 14년간의 인지평가 결과 등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하루 걸음 수에 따라 비활동(3000보 이하), 저활동(3000~5000보), 중간 활동(5000~7500보), 활동적 그룹(7500보 이상)으로 분류됐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이 많을수록 아밀로이드 베타 관련 인지기능 저하가 더 느리게 진행됐다. 이런 효과는 아밀로이드 베타 병리 변화보다 타우 단백질 축적 둔화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하루에 불과 3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3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더욱이 하루에 5000~7500보씩 걸을 경우, 알츠하이머 진행을 무려 7년까지 늦출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하루 1만보’를 고집하지 않아도 알츠하이머 진행을 더디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는 300명에 가까운 중년·노년을 14년에 걸쳐 추적·관찰해 분석, 이 같은 결론을 도출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하버드 의대, 매스 제너럴 브리검(MGB) 등 공동 연구팀은 ‘하버드 노화 뇌 연구’란 이름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인지 기능이 정상인 50~90세 296명을 14년에 걸쳐 관찰, 분석했다. 연구에 참가한 이들은 모두 연구 시작 당시엔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었지만, 이 중 30%는 이미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단백질이 뇌에 상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