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 공연 모습. 무용수들이 꽃밭을 짓밟으며 질주하고 있다. [사진 LG아트센터] 무용가 피나 바우쉬(1940~2009)는 무용을 넘어 20세기 공연 예술의 흐름을 바꿨다고 평가 받는다. 무용과 연극의 경계를 허문 그는 ‘탄츠테아터’(Tanztheater)라는 새로운 장르를 낳았다. 춤(Tanz)의 추상과 연극(Theater)의 서사가 결합했다는 의미다. ‘카네이션’은 피나 바우쉬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1982년 독일에서 초연됐고 한국에선 2000년 LG아트센터 개관작으로 처음 무대에 올랐다. 그리고 올해 25년 만에 다시 한국 관객을 찾는다. 이달 6~9일 LG아트센터 서울, 14~15일 세종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다. 4일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독일 무용단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쉬’의 예술감독 및 운영총괄 다니엘 지크하우스는 “이번 공연에는 특히 젊은 무용수들이 무대에 오르기 때문에, 그들만의 이해와...
기사 본문
6~9일 LG아트센터 서울, 14~15일 세종예술의전당 25년전 한국 초연 주역들과 젊은세대 무용수 무대 이현정 "이번엔 9천송이…피나의 계승 보게될 것" [서울=뉴시스]4일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에서 열린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 탄츠테아터 부퍼탈 기자간담회에서 에드워드 폴 마르니테스 리허설 디렉터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LG아트센터 제공)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피나 바우쉬의 본질은 어떤 경계가 없는 무경계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니엘 지크하우스 예술감독) "피나 바우쉬와 작업한 것을 가지고 새로운 세대가 자기 것으로 이해해서 자기 작품을 만들어가는 것이 곧 피나를 미래에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김나영 리허설 어시스턴트)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 '카네이션' 서울 공연을 앞두고 한국을 찾은 탄츠테아터 부퍼탈 제작진들은 4일 서울 LG아트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피나 바우쉬의 철학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에드워드 폴 마르니테스 리허설 디렉터는 "우리...
기사 본문
무용가 피나 바우쉬(1940~2009)는 무용을 넘어 20세기 공연 예술의 흐름을 바꿨다고 평가 받는다. 무용과 연극의 경계를 허문 그는 ‘탄츠테아터’(Tanztheater)라는 새로운 장르를 낳았다. 춤(Tanz)의 추상과 연극(Theater)의 서사가 결합했다는 의미다.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 '카네이션' 공연 장면. 사진 LG아트센터 ‘카네이션’은 피나 바우쉬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1982년 독일에서 초연됐고 한국에선 2000년 LG아트센터 개관작으로 처음 무대에 올랐다. 그리고 올해 25년 만에 다시 한국 관객을 찾는다. 이달 6~9일 LG아트센터 서울, 14~15일 세종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다. 4일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독일 무용단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쉬’의 예술감독 및 운영총괄 다니엘 지크하우스는 “이번 공연에는 특히 젊은 무용수들이 무대에 오르기 때문에, 그들만의 이해와 접근법이 무대에 더해질 것”이라고 말했...
기사 본문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 공연 모습. LG아트센터 제공 “처음 <카네이션>을 봤을 때 무대에 꽃이 피어있어서 충격받았죠. ‘여기서 무용수들이 춤을 춘다고?’ 제가 배웠던 발레는 주역과 조역이 있는데 모든 댄서들이 같은 시간에 다른 일을 하고 있더라구요. 너무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어서 혼란스러웠고, 더 알고 싶어졌죠.(김나영 리허설 어시스턴트) LG아트센터는 올해 25주년을 기념해 2000년 개관작으로 선보였던 현대무용의 거장 피나 바우쉬(1940~2009년)의 <카네이션>을 다시 무대에 올린다. 오는 6~9일 LG아트센터 서울, 14~15일 세종예술의전당에서 선보인다. 1982년 초연된 <카네이션>은 바우쉬가 확립한 탄츠테아터(Tanztheater·무용극)의 정수를 보여주는 초기 작품이다. LG아트센터는 2000년 <카네이션>을 시작으로 한국을 소재로 한 <러프 컷> 등 바우쉬의 작품 8편을 올리며 그의 무용단 탄츠테아터 부퍼탈과 인연을 맺어왔다. 이현정 LG아트센터장은 4일...
기사 본문
4일 피나 바우쉬 대표작 '카네이션' 기자간담회 LG아트센터 서울 LG 시그니처 홀서 오는 6~9일 탄츠테아터 부퍼탈의 예술감독 다니엘 지크하우스(LG아트센터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무경계성'이죠. 무엇이 춤이 될 수 있고, 또 춤이 될 수 없는지의 경계를 허뭅니다. 피나 (바우쉬)는 독일 폴크방 무용학교에서 연극, 무용,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총망라한 훈련을 받았어요." 독일 무용단 탄츠테아터 부퍼탈의 예술감독 다니엘 지크하우스가 '현대무용의 전설' 피나 바우쉬(1940~2009)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을 설명했다. 부퍼탈은 독일 서부의 도시로, '피나 바우쉬의 도시'로 불린다. 4일 오후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 서울에서는 무용 공연 '카네이션'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탄츠테아터 부퍼탈 예술감독 다니엘 지크하우스를 비롯해 리허설 디렉터 에드워드 폴 마르티네스, 리허설 어시스턴트 김나영, 이현정 LG아트센터장이 참석했다.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
기사 본문
피나 바우슈 ‘카네이션’의 한 장면. ⓒEvangelos Rodoulis·LG아트센터 제공 20세기 공연예술의 흐름을 바꾼 혁신적 안무가 피나 바우슈(1940~2009)의 대표작 중 하나인 ‘카네이션’이 6~9일 서울 LG아트센터 무대에 오른다. ‘카네이션’은 1982년 세계 초연한 작품으로 바우슈가 개척한 탄츠테아터(Tanztheater)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꼽힌다. 추상적인 춤(tanz)과 서사를 그린 연극(theater)을 결합한 탄츠테아터는 바우슈가 무용, 무대, 음악, 일상 몸짓을 결합해 제시한 새로운 형식이다. 2000년 개관 기념작으로 ‘카네이션’을 선보인 뒤 25년 만에 재연하는 데 대해 이현정 LG아트센터 센터장은 “많은 바우슈의 작품 중에서 특히 관객들이 다시 올려달라는 요청을 많이 했다”면서 “새로 유입된 젊은 무용수들이 만드는 작품에서 어떻게 무용이 세대를 넘어 계승되는지 관객들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굉장히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소개했다. 카네...
기사 본문
11월 6~9일 LG아트센터 서울 14~15일 세종예술의전당 올라 2000년 LG아트센터 개관작 25년 韓 초연 무용수도 무대 올라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 '카네이션'의 공연 장면/제공=LG아트센터 ⓒEvangelos Rodoulis [서울경제] ‘현대 무용의 혁명가’로 기억되는 독일 출신 무용 거장 피나 바우쉬(1940~2009)의 ‘카네이션’이 25년 만에 LG아트센터 무대에 오른다. 카네이션 9000송이가 무대를 뒤덮는 강렬한 이미지로 유명한 작품은 2000년 문을 연 LG아트센터 서울이 개관작으로 선보인 공연이기도 하다. LG아트센터는 카네이션을 시작으로 바우쉬의 작품 총 8편을 한국에 소개하며 국내 관객들이 그의 진면목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왔다. 바우쉬 타계 16년 만이자 25년 만에 한국에 귀환한 ‘카네이션’이 한국 관객들에 어떤 인상을 남길지 기대를 모은다. LG아트센터는 바우쉬가 이끌던 독일 무용단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쉬’가 오는 6~9일 LG아트센터 서울, ...
기사 본문
탄츠테아터부퍼탈 내한공연…"젊은 무용수만의 접근 더해" 무대위 9천송이 카네이션이 특징…"무대 위 꽃 처음보고 충격받아"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 '카네이션' 기자간담회 왼쪽부터 다니엘 지크하우스 예술감독 및 운영총괄, 에드워드 폴 마르티네스 리허설 디렉터, 김나영 리허설 어시스턴트, 이현정 LG아트센터장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최주성 기자 = "피나 바우슈의 작품과 예술세계는 인간 삶 그 자체에 대한 예술적인 재현입니다. 저희는 단순히 바우슈의 작품을 다시 공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녀의 예술정신을 미래로 가져가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독일 출신 현대무용 거장 피나 바우슈(1940∼2009)의 대표작 '카네이션'이 25년 만에 다시 한국 관객을 만난다.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의 예술감독 및 운영총괄 다니엘 지크하우스는 4일 LG아트센터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00년에 '카네이션'을 처음 서울에서 선보인 뒤 2...
기사 본문
2000년 국내 첫 소개…강렬한 인상 9천송이 카네이션 무대에 아름다움·폭력 공존하는 사회 나타내 서울과 세종서 관객 만나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피나 바우쉬와 오랜 기간 작업해 온 무용수들이 자신의 경험을 젊은 무용수들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바우쉬의 작품을 자기 몸으로 새롭게 만들어가는 과정이 곧 바우쉬의 유산을 미래로 이어가는 일이죠.” 한국인 최초이자 유일한 독일 탄츠테아터 부퍼탈 무용단원인 김나영(61)은 바우쉬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의미를 이같이 설명했다. 독일 현대 무용계의 거장 피나 바우쉬(1940~2009)의 대표작 ‘카네이션’은 오는 6일부터 9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14일부터 15일까지 세종예술의전당에서 관객을 만난다. 2000년 LG아트센터 개관작으로 국내에 처음 소개돼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작품으로, 25년 만의 귀환이다. 독일 현대 무용계의 거장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사진=LG아트센터). 4일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
기사 본문
6~9일 LG아트센터 서울 개관 25주년 기념 공연 피나 바우슈 '카네이션'.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독일 서부 인구 35만 명 남짓한 화학 산업 도시 부퍼탈. 직물과 화학 공장이 가동되던 이곳은 이제 무용의 도시로 불린다. 변화를 만든 이는 피나 바우슈(1940~2009)다. 바우슈는 무용, 연극, 음악, 무대미술, 일상의 몸짓을 결합한 새로운 형식 '탄츠테아터'를 제시하며 무용의 새 장을 열었다. 1973년 부퍼탈 시립극장 발레단 예술감독으로 취임하며 단체명을 탄츠테아터로 바꾼 후 36년간 44편의 작품을 발표하며 도시의 정체성을 바꿔 놨다. 그가 떠난 지 16년이 흘렀지만 부퍼탈의 무대는 여전히 바우슈의 예술로 움직인다. 그의 타계 후 무용단은 공식 명칭을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로 바꿨고, 바우슈 생전에 함께하던 15명을 포함해 34명의 무용수가 그 무대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1982년 초연작 '카네이션(Nelken)'은 바우슈의 예술이 어떻게 오늘의 무대에서 다시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