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상 응우옌 “박찬욱 ‘올드보이’ 기이한 폭력미, 내 작품에 스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비엣 타인 응우옌. 민음사 제공 “소설 ‘동조자’를 집필할 때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를 보며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베트남계 미국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은 4일 화상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미국으로 건너간 북베트남 스파이를 그린 소설 ‘동조자’로 2016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이 소설은 박찬욱 감독 연출로 미국 HBO 드라마로 제작돼 지난해 방영됐다. 소설가와 감독, 두 거장이 서로의 작업에 영향을 주고받은 셈이다. 응우옌은 “‘동조자’를 드라마로 각색할 때 프로듀서가 ‘어떤 감독을 생각하고 있느냐’고 묻기에 주저 없이 박찬욱 감독이라고 했다”며 “‘올드보이’의 시각적 스타일, 메시지, 창의성, 기이한 폭력, 모든 것이 ‘동조자’를 쓰는 데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응우옌의 신간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민음사)가 최근 국내 번역 출간됐다. 집 안에서는 베트남 이민자 부모의 삶을, 집 밖에서는 미국 사회를 관찰하며 ‘이중간첩’처럼 살아온 경험을 담은 책이다....
기사 본문
비엣 타인 응우옌은 자신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소설가다. 어릴 적 미국으로 이민 온 ‘보트피플’ 출신이다. [사진 민음사] “나는 스파이, 고정간첩, CIA 비밀요원, 두 얼굴의 남자입니다.” 베트남계 미국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의 소설 『동조자』(2015)는 이 문장으로 시작한다. 수용소에서 자백을 시작하는 화자 ‘나’는 프랑스·베트남 혼혈이자, 이중간첩이다. 소설은 출간 이듬해인 2016년 응우옌 작가에게 퓰리처상을 안겼고, 박찬욱 감독이 연출한 HBO 드라마로 제작됐다. 주인공과 작가는 닮아있다. 응우옌 역시 성실한 이민자로 살아온 부모를 둔 ‘베트남인’이자, 미국에서 오랜 기간 살아온 ‘미국인’이기 때문. 소설의 첫 문장에 등장한 ‘두 얼굴의 남자’가 응우옌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제목이 된 건 필연일지 모른다. 『두 얼굴의 남자』 표지. [사진 민음사] 에세이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해 4일 오전 작가를 화상으로 만났다. 그는 “나의 삶보다 전쟁, 기근...
기사 본문
박찬욱 감독의 HBO드라마 '동조자'의 원작을 쓴 베트남계 미국인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 사진 민음사 " 나는 스파이, 고정간첩, CIA 비밀요원, 두 얼굴의 남자입니다. " 베트남계 미국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의 소설 『동조자』(2015)는 이 문장으로 시작한다. 수용소에 갇혀 자백을 시작하는 화자 ‘나’는 프랑스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자, 이중간첩으로 살아가는 남자다. 소설은 출간 이듬해인 2016년 응우옌 작가에게 퓰리처상을 안겼고, 박찬욱 감독이 연출한 HBO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성실한 이민자로 살아온 부모를 둔 ‘베트남인’이자, 미국에서 오랜 기간 살아온 ‘미국인’이기도 한 작가는 자신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기반으로 주인공을 그려냈다. 소설의 첫 문장에 등장한 ‘두 얼굴의 남자’(A Man of Two Face)가 응우옌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제목이 된 건 필연일지 모른다. 에세이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해 4일 오전 작가를 화상으...
기사 본문
비엣 타인 응우옌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 번역 출간 "박찬욱 '올드보이'에 영향…'동조자' 연출할 감독으로 지목"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 [민음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미국은 언제나 다양성이 존재했던 국가이고 점점 더 다양한 인종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 인종들을 진정으로 대변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다양한 인종을 대변하려면 평등이 필수적인데, 미국은 결코 평등하지 않기 때문이죠." 박찬욱 감독이 연출한 드라마 '동조자'의 원작 소설을 쓴 베트남계 미국인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이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민음사)로 돌아왔다. 이번 에세이 제목은 작가의 대표작인 '동조자'의 첫 문장 "나는 스파이, 고정간첩, 비밀 요원, 두 얼굴의 남자입니다"를 연상케 한다. 아울러 베트남과 미국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디아스포라(diaspora·고국이나 고향을 떠나 다른 지역에서 살아가는 집단)의 정서를 담았다. 작가...
기사 본문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 국내 번역 출간 "진실 이야기하는 작가라면 정치 이야기 해야" 박찬욱의 '동조자' 원작자…"나와 생각 비슷해" [서울=뉴시스]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 (사진=민음사 제공) 2025.11.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기용 기자 = "미국은 설립 근본 원칙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제한이 없는 사람'으로 인지할 수밖에 없어요. 트럼프 2기는 1기의 후속편을 보는 것 같습니다. 트럼프는 미국 문화에 있어 최악의 산물입니다." 소설 '동조자'로 퓰리처상을 받은 베트남계 미국인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정면 비판했다. 응우옌의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민음사)가 국내 번역 출간됐다. 지난 4일 국내 출간에 맞춰 기자들과 가진 화상인터뷰에서 응우옌은 "진실을 이야기하는 작가라면 정치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침묵하는 것은 더 쉬운 선택이다....
기사 본문
'동조자'로 '퓰리처상' 베트남 출신 美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 '두 얼굴의 남자' 국내 출간 "삶에서 지우기 어렵게 하는 게 트럼프 전략" 비엣 타인 응우옌은 "작가로서 진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면 정치적 이야기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정부의 검열뿐 아니라, 두려움 때문에 스스로를 검열하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해서도 고민을 많이 한다"고 했다. 민음사 제공 1975년 북베트남군이 남베트남 수도 사이공을 점령하자 미국으로 탈출한 '보트피플' 행렬에는 당시 4세였던 비엣 타인 응우옌이 있었다. 그는 아시아계 '모범적 소수자'의 전형으로 '아메리칸드림'을 일군 부모 밑에서 부족할 것 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11세 때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지옥의 묵시록'을 보고 그의 세계가 흔들리기 전까진. 베트남전을 다루는 영화에서 백인 주인공은 응우옌과 같은 피부색에 같은 말을 하는 동족에게 총을 난사한다. "그 순간 너는 둘로 쪼개져 버린다. 너는 학살을 저지른 미국인인가? 아니...
기사 본문
‘동조자’ 집필한 응우옌 작가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 펴내 베트남 난민 가족사로 美 고발 “미국, 여전히 평등하지 않아” “진실을 말하는 작가라면 정치를 이야기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는 (스스로를) 정치적인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베트남 난민 출신 이민자 2세인 베트남계 미국인 비엣 타인 응우옌 작가는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 한국어 번역 출간을 기념해 4일 진행된 언론사 합동 인터뷰에서 자신의 문학적 위치를 이렇게 정의했다. 그는 “정의롭지 않은 것을 보았을 때 작가는 파악하고 볼 수 밖에 없다”며 “정치적이면서 좋은 문학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나의 목표는 그것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출간된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는 1975년 남베트남 패망에 따라 난민 자격으로 미국에 오게된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담았다. 식민지배와 분단, 전쟁을 겪은 이민 1세대인 부모가 역사적 상처를 안고 차별에 고통받으며 2세대인 자신과 형을 키워낸 이야기다. ‘아메리칸 드림...
기사 본문
퓰리처상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 자전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 박찬욱 드라마 ‘동조자’의 원작자 미국 내 이민자로서 정체성 담아내 트럼프 대신 ‘■■■’ 표기로 저항 베트남계 이민자 2세인 미국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은 최근 인종 차별 등 다양성을 억압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권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를 펴냈다. 민음사 제공 “제 책에서 트럼프의 이름을 까맣게 칠해 버린 것은 ‘정치적인’ 선택이었습니다. 트럼프는 많은 사람의 관심을 즐깁니다. 그런 그를 ‘무시’해 버리는 것에 희망이 있다고 봤습니다. 물론 이런다고 우리의 역사에서 트럼프의 유산을 완전히 지울 순 없을 겁니다. 앞으로 우리가 계속 감당해야 할 것이죠.” 처음 발표한 소설 ‘동조자’로 2016년 퓰리처상을 받으며 미국 문단에 이름을 각인한 베트남계 작가 비엣 타인 응우옌(54)이 최근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 ‘두 얼굴의 남자’(민음사)에는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를 언급하는 대목이 상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