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늦추고 싶다면…“하루 1만보? ‘이만큼’만 걸어도 효과”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하루에 불과 3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3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더욱이 하루에 5000~7500보씩 걸을 경우, 알츠하이머 진행을 무려 7년까지 늦출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하루 1만보’를 고집하지 않아도 알츠하이머 진행을 더디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는 300명에 가까운 중년·노년을 14년에 걸쳐 추적·관찰해 분석, 이 같은 결론을 도출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하버드 의대, 매스 제너럴 브리검(MGB) 등 공동 연구팀은 ‘하버드 노화 뇌 연구’란 이름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인지 기능이 정상인 50~90세 296명을 14년에 걸쳐 관찰, 분석했다. 연구에 참가한 이들은 모두 연구 시작 당시엔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었지만, 이 중 30%는 이미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단백질이 뇌에 상당히 ...
기사 본문
하버드 의대 연구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치매 발병 위험이 높은 노인은 하루 몇 천 보만 걸어도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협력 비영리 병원 네트워크인 매스 제너럴 브리검((Mass General Brigham) 연구자들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에 발표한 논문에서 하루 3000~5000보를 걷는 사람은 3000보 미만으로 걸은 또래에 비해 인지 기능 저하가 평균 3년 늦었으며, 5000~7000보를 걸을 때 보호 효과가 가장 커 평균 7년 지연됐다고 보고했다. 운동과 치매의 관련성은 이미 잘 알려졌으며, 많은 신경과 전문의들은 신체 활동이 치매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말한다. 이번 연구는 운동이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인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단백질(아밀로이드와 타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누가 운동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기사 본문
美 연구팀 "알츠하이머병 병리 시작 후 신체활동도 인지 저하 속도 늦춰"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뇌 안에서 알츠하이머병 병리 현상이 시작됐지만 인지 저하 증상은 없는 고령층의 경우 하루 5천보 정도를 걷는 신체활동으로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크게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전 계족산 황톳길 걷는 시민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브리검(MGB)의 재스미어 찻왈 교수팀은 4일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인 고령층 290여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과 알츠하이머병 핵심 생체표지자 간 관계를 장기간 추적해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신체 활동량을 늘리는 게 알츠하이머병 증상 시작 전 단계에서 타우 단백질 병리와 인지 저하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를 토대로 노인층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활동 목표를 제시...
기사 본문
하루 3000보 정도의 가벼운 걷기만으로도 뇌 노화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 이미지 제공 매일 3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 협력 비영리 병원 네트워크인 매스 제너럴 브리검(Mass General Brigham) 연구팀은 매일 3000보 이상 걷는 습관만으로도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평균 3~7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 3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50~90세 성인 296명을 대상으로 14년간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모두 연구 시작 당시 인지적으로 정상이었으며 만보계를 착용해 하루 평균 걸음 수를 측정했다. 이와 동시에 참가자들의 뇌를 촬영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와 ‘타우(tau)’ 단백질이 얼마나 쌓였는지 확인했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뇌 속 단백질의 분포와 변...
기사 본문
1일 3000~5000보만 걸어도 조기 알츠하이머 인지 저하 3년 늦춰 하루 3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병 초기 단계에 있는 고령층의 인지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3일(현지시간) 미 CNN은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신경과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걷기 걸음 수를 늘리면 조기 알츠하이머 징후가 있는 노인의 기억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서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시작된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30대부터 뇌세포 사이에 쌓이기 시작해 신호 전달을 방해하고, 이후 타우 단백질이 엉켜 뇌세포를 손상시킨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신경학자 웬디 야우 박사는 "운동은 기억력 저하와 관련된 타우 단백질의 축적을 늦추고 인지 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50세에서 90세 사이의 성인 296명을 14년 동안 추적 조사했다. 하루 걸음 수는 만보계로 측정했고, 평...
기사 본문
美 연구진, 평균 72세 9년 관찰한 결과 발표 “뇌에서 타우 단백질 축적 억제가 핵심”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한 어르신이 지팡이를 짚고 이동하고 있다./뉴스1 하루 3000보 이상 걷는 습관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환자 3분의 2를 차지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걷는 것과 같은 신체 활동이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큰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4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하버드 노화 뇌 연구에 참여한 50~90세 성인 296명을 평균 9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평균 나이는 72.3세였다. 이들은 모두 연구 시작 당시에는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었지만, 뇌에는 이미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쌓여 있었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원래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단백질이지만, 세포에서 떨어져 나와 덩어리를 이루면 오히려 손상을 준다고 알려졌다....
기사 본문
알츠하이머 진행 시작된 노년층에게 효과↑ 하루 3000~5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 병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어도비 스톡 하루 3000보만 걸어도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는 속도가 약 3년 늦춰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네이처의 의학 분야 대표 자매지 ‘네이처 메디신’에 3일(현지 시각) 발표됐다. 300명에 가까운 중년·노년을 최장 14년에 걸쳐 추적·관찰해 분석한 논문으로, 5000~7500보씩 걸을 경우엔 7년까지 늦출 수도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하버드 의대, 매스 제너럴 브리검(MGB) 등 공동 연구팀은 인지 기능이 정상인 50~90세 296명을 길게는 14년에 걸쳐 관찰, 분석했다. 연구에 참가한 이들은 연구 시작 당시엔 모두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었지만, 약 30%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로 꼽히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Aβ)’가 뇌에 이미 축적된 상태였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본래 신경세포 기능 조절에 관여...
기사 본문
◆…하루 5000보 정도 걸으면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치매 발병 가능성이 높은 고령층이 하루 5000보 정도 걸으면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협력 병원 네트워크인 매스 제너럴 브리검 연구팀은 4일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을 통해 하루 5000~7000보 걸을 때 인지기능 저하가 평균 7년 늦춰졌다고 발표했다.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인 알츠하이머병의 절반가량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체활동 부족은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이번 연구는 인지기능이 정상인 고령층 290여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과 알츠하이머병 핵심 표지자 간 상관관계를 장기간 추적한 결과다. 연구팀은 '하버드 뇌 노화 연구'에 참여한 50~90세 296명을 대상으로 하루 신체 활동량, Aβ·타우 단백질을 장기간 측정한 PE...
기사 본문
연구진, 50~90세 성인 296명 9.2년 관찰 결과 3000~5000보 걸어도 인지저하 3.1년 늦춰 5000보 이상은 7년 지연…7500보 정도로 충분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걷기 활동이 알츠하이머 병 위험이 큰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이미 치매 위험 요인이 쌓이기 시작한 노인이라도 매일 꾸준히 걷는 것만으로 인지 기능 저하 시점을 최대 7년까지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연구진은 4일(현지시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걷기 활동이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큰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환자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다. 연구진은 ‘하버드 노화 뇌 연구(HABS)’에 참여한 50~90세 성인 296명을 평균 9.2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시작 시점에 이들은 모두 ...
기사 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매일 5000보만 걸어도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사례의 거의 절반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신체활동 부족은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브리검 재스미어 찻왈 교수팀은 '하버드 뇌 노화 연구'에 참여한 인지기능이 정상인 50~90세 296명을 대상으로 만보기로 측정한 하루 신체 활동량, Aβ·타우 단백질을 장기간 측정한 PET 영상, 최대 14년간의 인지평가 결과 등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하루 걸음 수에 따라 비활동(3000보 이하), 저활동(3000~5000보), 중간 활동(5000~7500보), 활동적 그룹(7500보 이상)으로 분류됐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이 많을수록 아밀로이드 베타 관련 인지기능 저하가 더 느리게 진행됐다. 이런 효과는 아밀로이드 베타 병리 변화보다 타우 단백질 축적 둔화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