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비 3만원 할인…“올겨울엔 따뜻한 국내 여행 어때요?”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문체부, 12월7일까지 10만여장 선착순 배포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겨울철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해 12월7일까지 ‘2025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겨울 여행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2025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열어 전국 주요 숙박시설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3일부터 12월7일까지 열리며, 약 10만여장의 숙박할인권이 선착순으로 배포된다. 할인권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숙박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숙박요금이 7만원 이상이면 3만원, 7만원 미만이면 2만원을 깎아준다. 호텔·콘도·펜션 등 국내 등록 숙박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미등록 시설이나 대실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번 ‘겨울편’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연계해 추진된다.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 할인권을 이미 사용한 사람도 다시...
기사 본문
문체부, 12월 7일까지 겨울 숙박세일페스타 서울·경기·인천 제외 지역 숙박 할인 여성들이 지난 23일 대구광역시 사유원 소대를 거닐며 숲의 정취를 만끽하고 있다. ⓒ손상민 사진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3일부터 오는 12월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정부 주도 소비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연계해 겨울 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된다. 적용 대상은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호텔·콘도·리조트·펜션 등 국내 등록 숙박시설이다. 행사 기간 내 입실하는 숙박상품에 한해, 숙박요금 7만원 이상 상품엔 3만원, 7만원 미만 상품엔 할인권 2만원이 적용된다. 다만 대실 상품이나 미등록 숙박시설은 제외된다. 이전 '가을편', '특별재난지역편' 할인권 사용자도 이번 행사에 다시 참여할 수 있다. '겨울편' 숙박할인권은 3일 오전 10시부터 참여 온라인 여행사를 통해 1인 1매 기준으로 선착순 발급된다. 발급받은 할...
기사 본문
내달 7일까지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 국가소비축제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연계 비수도권 숙박상품 1인1매 선착순 발급 겨울여행 수요↑…지역경제 활력 제고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오는 12월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열고, 최대 3만 권의 비수도권 숙박시설 할인권을 선착순 발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라는 비전 아래 열리는 국가 단위 소비 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Korea Grand Festival)과 연계해 겨울 여행 수요 확대를 위해 추진하는 조처다. 국가단위 대규모 소비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시작된 10월 29일 서울 중구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에 그랜드 페스티벌 연계 롯데마트 땡큐절 행사가 안내되고 있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기존 코리아 세일 페스타와 동행축제를 통합해 10개 부처와 3만7000개사가 참여하는 국가 단위 할인 캠페인으로...
기사 본문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 11월 3일 시작 비수도권 숙박시설 대상 할인권 제공해 숙박요금 7만 원 이상 최대 3만 원 할인 호텔·리조트·펜션 등 등록 숙소만 해당 1인 1매,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발급돼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3일부터 12월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Korea Grand Festival)’과 연계해 겨울철 국내 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된다. 앞서 8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된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 행사에서는 총 77만 장의 할인권이 배포됐다. 특히 산불·호우 피해지역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한 할인권 15만여 장이 모두 사용되며, 피해지역 관광 회복과 지역경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겨울편’은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숙박요금 7만 원 이상 상품에는 3만 원...
기사 본문
문체부·관광공사,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 진행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오는 12월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라는 비전 아래 열리는 국가 단위 소비 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연계해 겨울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숙박할인권 10만여장을 선착순 배포할 예정이다.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이에 앞서 지난 8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가을편’ 및 ‘특별재난지역편’ 행사를 진행해 숙박할인권 77만장을 배포한 바 있다. 이번 ‘겨울편’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숙박요금 7만원 이상 상품에는 3만원, 7만원 미만 상품에는 2만원의 할인권이 적용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할인권은 행사 기간 내 입실하는 숙박상품에 사용할 수 있으며, 호텔·콘도·리조트·펜션 등 국내 등록 숙박시설이 대상이다. 단, 대...
기사 본문
비수도권 호텔·리조트 대상, 12월 7일까지 진행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연계…매일 오전 10시 선착순 발급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News1 윤슬빈 관광전문기자 (서울=뉴스1) 윤슬빈 관광전문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다음 달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라는 비전 아래 열리는 국가 단위 소비 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Korea Grand Festival)과 연계해 겨울 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한다. 앞서, 8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한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 행사에서는 국민들의 높은 관심 속에 할인권 총 77만 장을 배포했다. 특히 산불·호우 피해지역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한 '특별재난지역편' 할인권 15만여 장이 전량 사용됐다. 이번 '겨울편'은 수도권(서울·...
기사 본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3일부터 12월 7일까지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라는 비전 아래 열리는 국가 단위 소비 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연계, 겨울 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앞서 8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한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 행사에서는 국민들의 높은 관심 속에 할인권 총 77만 장이 배포됐다. 특히 산불·호우 피해지역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한 ‘특별재난지역편’ 할인권 15만여 장이 전량 사용돼 피해지역 관광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겨울편’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숙박요금 7만 원 이상 상품에는 3만 원, 7만 원 미만 상품에는 2만 원의 할인권이 적용된다. 할인권은 행사 기간 내 입실하는 숙박상품에 사용할 수 있으며, 호텔·콘도·...
기사 본문
문체부·관광공사, 3일부터 12월7일까지 비수도권 숙박 상품 최대 3만원 할인 행사 기간 중 매일 오전 10시부터 참여 온라인여행사 통해 1인 1매 선착순 발급 [서울=뉴시스]김정환 관광전문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직무대리 서영충)와 함께 3일부터 12월7일까지 올해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 겨울편’을 진행한다.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라는 비전 아래 열리는 국가 단위 소비 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Korea Grand Festival)과 연계해 겨울 여행 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는 행사다. 앞서 8월20일부터 10월30일까지 열린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 행사에서는 국민의 높은 관심 속에 할인권 총 77만 장이 배포됐다. 특히 산불·호우 피해 지역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 지역을 대상으로 한 ‘특별재난지역편’ 할인권 15만여 장이 전량 사용돼 피해 지역 관광 회복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