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물류 분야 ‘AI 대전환’ 나선다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3개
수집 시간: 2025-10-24 09:46: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24 06:01:10 oid: 016, aid: 0002546531
기사 본문

24일 킥오프 회의…학계·기업 등과 논의 국토교통부[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국토교통부는 ‘물류 인공지능(AI) 대전환 혁신랩(이하 혁신랩)’ 킥오프 회의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회의에선 물류 분야 AI 기술을 통한 산업 구조 혁신과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AI에 기반한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발굴 및 지원대책 공동 마련 등 본격적인 협력체계 운영에 착수하고 이를 통해 내년 물류산업 혁신 인프라 조성, 기술 개발 및 육성, 산·학·연 협력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물류 AI 대전환 추진방안’을 수립 및 발표할 예정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혁신랩은 물류·산업공학·AI 등 학계, 주요 물류기업 및 AI·자율주행 분야 새싹기업(스타트업), 연구기관 및 물류관련협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모빌리티(운송), 풀필먼트(보관, 하역 및 포장) 등 기존 물류 영역을 비롯해 플랫폼, 데이터 등 정보화, 표...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3 15:01:11 oid: 015, aid: 0005201021
기사 본문

[한경 CFO Insight] 이승훈 이지스자산운용 물류사업실장 이 기사는 10월 22일 09:37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승훈 이지스자산운용 물류사업실장 코스피 지수가 3700포인트를 넘어서고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하는 등 자산시장 전반이 회복세다. 비트코인 가격은 1억7000만 원을 오르내리며 가상화폐 시장의 열기를 더하고 있다. 모든 게 다 올라도 안 오르는 것 딱 두 가지가 있다면 ‘월급’과 ‘자식의 성적’이란 우스갯 소리가 있다. 여기에 물류시장이 포함되어야 할 것 같다. 자산시장 전반의 회복 분위기에서도 유독 물류시장만은 고전하고 있다. 부동산 컨설팅 업체 젠스타메이트의 2025년 2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물류센터 거래 규모는 전 분기 대비 약 67% 급감했다. 코로나19 시기 전자상거래 급증으로 정점을 찍었던 물류시장은 2022년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은 후, 최근 금리 하락 추세에도 불구하고 회복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최근 2~3년간 거래량...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24 09:27:09 oid: 030, aid: 0003362343
기사 본문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경북도, 한국국제물류협회는 23일 서울 롯데 호텔 월드 사파이어볼룸홀에서 항공 물류산업의 혁신과 로봇·첨단 기술 융합을 위한 3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경북도, 한국국제물류협회가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제3회 대구경북신공항 국제물류포럼 행사와 동시에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피지컬 AI로 여는 대구경북신공항 항공 물류 대전환'이라는 주제로 곧 개항될 대구경북신공항이 AI로봇 기술을 활용한 첨단 물류 공항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류지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 직무대행, 원제철 한국국제물류협회 회장 등 국내외 물류·로봇·항공 분야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2025-10-24 06:00:09 oid: 001, aid: 0015698065
기사 본문

물류업계 'AI 휴머노이드 로봇' 현장 실증 [CJ대한통운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24일 '물류 인공지능(AI) 대전환 혁신랩'의 첫 회의(킥오프 회의)를 열고 물류 업계 및 학계와 물류 분야 AI 기술을 통한 산업 구조 혁신과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혁신랩은 물류·산업공학·AI 등 학계, 주요 물류기업 및 AI·자율주행 분야 새싹기업(스타트업), 연구기관 및 물류 관련 협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모빌리티(운송), 풀필먼트(보관, 하역 및 포장) 등 기존 물류 영역을 비롯해 플랫폼, 데이터 등 정보화, 표준화 및 법·제도 개선 등 전문 분야별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추가로 참여하는 소규모 워킹그룹도 유동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출범식에서는 국내외 물류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및 정책 제안 등에 대한 학계 및 업계 관계자의 발표를 시작으로 국내 물류산업의 인공지능...

전체 기사 읽기